본문 바로가기

맛있는 소금

연말 잦은 술자리…과음하면 ‘필름’ 왜 끊기나?

연말 잦은 술자리…과음하면 ‘필름’ 왜 끊기나?

알코올 뇌속에 침투 정보입력 차단시켜

술이 더 독하게 느껴지는 12월이다. 친구, 회사 동료, 동문회 등 평소보다 많은 술자리가 우리를 기다리고 있다. 그러나 얼큰한 취기 속 화기애애한 즐거움은 잠시. 과음은 ‘기억 상실’을 부른다. 소위 ‘필름이 끊기는’ 것이다. 다음날 일어나기도 어려울 정도로 머리가 지끈지끈하고 속은 울렁거리는 경우가 많다. 왜 흥겨운 술자리에서 필름 끊기는 현상이 생겨날까. 숙취는 왜 뒤따르는 것일까. 술과 관련된 과학적 지식을 살펴보자.

알코올에 교란되는 뇌세포

알코올은 위와 소장에서 흡수된 뒤 혈액을 타고 간으로 들어가 최종 처리 과정을 밟는다. 그러나 간의 처리 용량보다 많은 알코올이 몸 안에 들어오면 알코올은 핏줄을 타고 뇌와 다른 장기로 파고 든다. 특히 뇌에는 다른 신체 기관보다 많은 혈액이 공급되기 때문에 즉각적인 영향을 미치게 된다.

알코올은 뇌세포를 직접 파괴하지는 않지만, 신경세포 막을 무너뜨리며 신경세포들의 신호 전달 시스템을 교란시킨다. 신경세포 간의 정보전달이 제대로 안 되다 보니 여러 이상 징후가 나타나게 된다. 이때가 이른바 ‘취한’ 상태 인 것이다. 발음이 부정확해지고 청력 기능도 떨어지며 시야도 흐릿해진다. 무엇보다 평형감각이 망가지면서 균형을 못잡고 비틀거리게 된다.

필름이 끊기는 현상은 의학 용어로 ‘블랙아웃(Blackout)’이라 하는데, 기억을 입·출력하는 대뇌의 해마 부위에서 입력과정에 문제가 생겼을 때 발생한다.

통상 다음날 일어나 보면 음주 당시의 기억은 전혀 나지 않는데, 신기하게도 집에는 무사히 돌아와 있는 나 자신을 발견할 수 있다. 하지만 어떻게 귀가했는지 도통 기억이 안 난다. 이는 술자리 상황 등 새로운 정보는 술 마시는 동안 뇌속에 ‘입력’이 안됐지만, 집 위치나 귀가 방법 등 기존에 입력된 기억은 제대로 ‘출력’되기 때문에 나타나는 현상이다.

숙취는 왜 생기나

술을 마시고 잠에서 깬 뒤 특유의 불쾌감을 느끼게 된다. 머리가 깨질 듯이 아프고, 몸에 기운도 없어진 것처럼 축 처지는 느낌을 받는다. 속이 울렁거리면서 쓰리고 아프기도 하다. 이같은 숙취감은 술의 알코올 성분에 의한 것이라기보다는 알코올 대사과정에서 생겨나는 현상이다. 아세트알데하이드(Acetaldehyde)라는 물질이 위 점막, 교감신경 등을 지속적으로 자극하면서 빚어지는 현상이다. 반대로 ‘술이 깬다’는 것은 아세트알데히드의 자극이 없어졌다는 것을 의미한다.

한 연구 결과에 따르면, 체중 60㎏ 정도의 보통 성인이 1시간 안에 분해할 수 있는 알코올의 양은 6g정도다. 만일 소주 한 병을 마셨다면 술 속에 든 알코올을 왼전히 분해하기까지 10시간 이상을 기다려야 하는 셈이다.

콩나물국, 북엇국 등 음식을 비롯해 숙취 제거에 특효가 있다고 알려진 음료나 약품은 모두 아세트알데히드 분해 효소를 많이 담고 있는 것들이다.

숙취를 해소하기 위해 사우나에 가면 혈관이 확대돼 되려 알코올 분해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 맵거나 뜨거운 해장국도 알코올로 손상된 위벽이나 장에 자극만 더 줄 수 있다.

해장술은 일시적 마취 효과뿐

머리가 맑아진다며 술 마신 다음날 해장술을 먹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이는 몸안에 새로 들어간 알코올이 아세트알데히드의 처리 과정을 잠시 중단시키면서 생겨나는 일시적 현상이다. 숙취감이나 여러 불쾌한 느낌을 잠깐 동안만 못 느끼게 하는 것이다. 다시 말해 뇌의 중추신경 등이 알코올로 인해 잠깐 동안 마비되면서 일시적인 ‘마취효과’가 나타나는 것과 같다고 할 수 있다.

한편 일반적으로 알려진 것과 달리 술을 섞어 마시는 것이 몸에 해롭지 않다는 연구결과가 미국 등 여러 연구팀에 의해 나와 주목을 끌고 있다. 로시니 라자파크사 뉴욕의대 교수 등은 “섞어 마시는 것 자체는 몸에 미치는 영향이 별로 없으며 숙취 등에 가장 중요한 영향을 주는 요인은 알코올의 총량”이라고 주장했다.

이영표기자 tomcat@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