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기획 연재

그 음악 그 곳4-몽골 성악과 유목의 시대 분야 : 국제   2004.3.24(수) 18:21 편집 [그 음악 그 곳]<4> 몽골 성악과 유목의 시대 몽골 음악을 들으면 드넓은 초원을 누비며 자연을 벗삼아 살아온 유목민족의 성정을 그대로 느낄 수 있다. 동아일보 자료사진 13세기 무렵 대륙의 유목민족들이 역사의 전면에 나타났다. 칭기즈칸은 세계 인구의 3.. 더보기
그 음악 그 곳3-안데스의 노래와 잉카 분야 : 국제   2004.3.17(수) 18:31 편집 [그 음악 그 곳]<3>안데스의 노래와 잉카 도시 페루와 볼리비아의 국경에 있는 티티카카 호수의 원주민이 타는 갈대배. 갈대를 엮어 만든 인공섬에서 산다. 동아일보 자료사진 라틴아메리카의 페루. 내가 페루를 찾은 것은 1992년 어느 날 워싱턴DC에서 '인티 이.. 더보기
그 음악 그 곳2-파두와 리스본의 달동네 분야 : 국제   2004.3.10(수) 18:28 편집 [그 음악 그 곳]<2>파두와 리스본의 달동네 성 조지 캐슬(언덕 위) 아래로 리스본의 구시가가 알파마 지구 보인다. 단 6초만에 리스본을 폐허로 내몬 지진 속에서도 굳건히 살아남은 파두의 고향이다. 듣는 이도 연주자가 되는 포르투갈의 파두 포르투갈은 많은.. 더보기
그 음악 그 곳1-십면매복과 고촉도 분야 : 국제   2004.3.3(수) 18:43 편집 [그 음악 그 곳]<1>십면매복과 고촉도(古蜀道) 당나라 시인 이백까지 시를 통해 험준함을 노래했던 고촉도의 요새이자 방벽 검문관. 촉나라 관문으로 왼쪽 바위벽에 나무를 대어 가설한 잔도가 이곳의 험한 지형을 말해주고 있다. 사진 출처는 ‘삼국촉도람승(.. 더보기
한국서 살아보니-버나드 브랜더/대접받지 못하는 전통과 유산 분야 : 국제   2004.5.21(금) 18:38 편집 [한국에서 살아보니]버나드 브랜더/대접받지 못하는 ‘전통과 유산’ 한국은 세계 어느 나라와 비교해도 결코 뒤지지 않는 오랜 역사와 훌륭한 문화유산을 간직한 나라다. 그러나 한국에서 전통과 유산은 제대로 대접받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오래된 것은 나.. 더보기
한국서 살다보니-다루미 사토시/왜 앞만보고 달리세요 분야 : 국제   2004.3.12(금) 18:13 편집 [한국서 살아보니]다루미 사토시/왜 그렇게 앞만보고 달리세요? 한국에 처음 왔을 때 “서울의 운전 매너 참 나쁘죠? 신호가 노란색으로 바뀌어도 2대 정도는 꼬리를 물고 진입하니, 놀라지 않으셨어요?”라고 친한 한국인들이 물어보면 난 이렇게 대답했다. “놀.. 더보기
한국서 살아보니-윌리엄 오벌린/반미시위대의 미국인 배려 분야 : 국제   2004.2.27(금) 19:05 편집 [한국서 살아보니]월리엄/反美시위대의 미국인 배려 외국인에게 ‘한국’ 하면 떠오르는 이미지 중 하나는 ‘과격한 시위대’인 듯하다. 종종 고향을 방문하면 친지들은 ‘무섭지 않으냐’ ‘위험하지 않으냐’고 묻는다. 버지니아주 리치먼드에 살고 있는 미국.. 더보기
한국서 살다보니-벵자맹 주아노/주 5일제 즐겨보세요 분야 : 경제   2004.1.30(금) 18:08 편집 [한국서 살아보니]벵자맹 주아노/"주5일제, 즐겨보세요" ‘추산(秋山)이 석양을 띠고 강심(江心)에 잠겼는데/일간죽(一竿竹) 둘러메고 소정(小艇)에 앉았으니/천공(天公)이 한가히 여겨 달을 조차 보내더라.’ 조선 중기 유자신(柳自新)의 이 시조는 조선의 엘리트..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