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김홍도의 후예들

[스크랩] [김환기화백의 작품] [김환기화백의 작품] <귀로> <1950 / 캔버스에 유채 / 100 x 80 cm> <여인과 매화와 항아리> 1956 / 캔버스에 유채 / 61 x 41 cm <항아리와 나는 새> <1958 / 캔버스에 유채 / 72 x 52 cm> <달과 매화> <1961/캔버스에 유채/25 x 41cm> <새와 항아리> <1957 / 캔버스에 유채 / 98 x 145.5 cm> <야.. 더보기
[스크랩] 꿈을 그린 추상화가 김환기 1913년 전남 신안에서 출생한 김환기는 일찍이 동경에 유학하여(일본대학 예술학부) 1930년대 후반 일본화단의 전위적 단체인 자유미술가협회전 창립에 참여함으로써 본격적인 모더니즘 운동을 전개했다. 해방 후 1947년에는 유영국, 이규상과 더불어 신사실파를 결성하여 모더니즘의 계보를 형성하는 .. 더보기
[스크랩] 자유분방한 천재화가 김홍도를 다시 본다 단원 그림 총 집합. 조선 최고의 풍속화가 단원 김홍도(1745~?)의 작품 120여점이 나오는 ‘단원대전’이 15일부터 29일까지 서울 성북동 간송미술관에서 열린다. 1995년 단원 탄신 250돌 기념전이 열렸을 때도 내보이지 않았던 단원 그림들이 대거 선보이는, 그야말로 사상최대의 단원 그림전이다. 조선 후.. 더보기
[스크랩] 조선후기작품2. http://kobaw.com.ne.kr/jshg/gds.htm")'>김득신 - http://kobaw.com.ne.kr/jshg/tjd-gds.htm")'>투전도 http://kobaw.com.ne.kr/jshg/gds.htm")'>김득신 - http://kobaw.com.ne.kr/jshg/pjd.htm")'>파적도 http://kobaw.com.ne.kr/jshg/ghd.htm")'>김홍도 - http://kobaw.com.ne.kr/jshg/csjd.htm")'>총석정도 http://kobaw.com.ne.kr/jshg/ghd.htm")'>김홍도 - http://kobaw.com.ne.kr/jshg/gsd.htm")'.. 더보기
[스크랩] 보기힘든 김홍도 그림 모음 출처 : 블로그 > .. | 글쓴이 : 너와집나그네 [원문보기] 더보기
[스크랩] 궁중 화가와 김홍도 화조도 (花鳥圖 八曲屛) 자연 속에 아늑하게 자리잡고 있는 꽃과 새를 그린 작품으로, 각 폭마다 계절감각이 뚜렷하 게 드러나 있다. 화조는 세밀한 윤곽선을 먼저 그린 후에 선명하게 칠을 하는 궁중풍의 구 륵법(鉤勒法)으로 그린 반면, 화면 한 귀퉁이에 배치된 괴석은 먹을 위주로 다소 거친 듯한 .. 더보기
[스크랩] 김홍도 미공개 화첩 출처 : 블로그 > 흔적(痕迹) | 글쓴이 : 보통사람 [원문보기] 더보기
[스크랩] [ 보리밭 사잇길로 ] - 송계 박영대 화백 [ 보리밭 사잇길로 ] - 송계 박영대 화백 맷방석 (1) 맷방석 (2) 추상 보리 (1) 추상 보리 (2) 보리 (1) 보리 (2) 보리 (3) 보리 (4) 2006.04.01 SUNMOON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