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Make a Difference!73

기부문화의 발전을 위해서 뒤집어 생각해야할 네 가지 한국은 기부문화의 후진국이다? 절대 그렇지 않다. 한국은 기부문화의 잠재적 선진국이다. 다만 모금 기술의 후진국일 뿐이다. 모금 기술의발달과비영리단체경영의합리화는한국을기부문화의선진국으로바꾸어놓을것이다. 국제적인 모금전문가들은 한국 사회의 기부문화 성장가능성에 대해서 낙관하.. 2006. 8. 14.
‘기업’의 기부를 말한다 노블리스 오블리주(Noblesse Oblige)라는 말이 있다. 사회 고위층에게 요구되는 높은 수준의 도덕적 의무를 뜻하는 이 말은 경제적으로, 사회적으로 여유 있는 이들이 우리사회의 사각지대를 돌아볼 의무와 책임이 있다는 의미로 사용된다. 최근 의무와 책임을 더욱 강요받는 곳이 바로 기업이다. 지난 50.. 2006. 8. 14.
미국에서 꼭 배워야할것....기부문화 분위기 조성 방법 미국 사회에는 자선 행위를 격려하는 분위기가 정착돼 있다. 미국의 공공시설이나 공원에서는 크고 작은 시설물이 누구의 기부에 의해 세워졌는지를 알리는 안내문을 쉽게 찾아볼 수 있다. 예를 들어 공원 오솔길의 작은 벤치 뒤에 기부자의 이름과 함께 ‘이 벤치는 누구누구의 기부에 의한 것입니.. 2006. 8. 14.
가장 기부 많이 하는 스타는? Forbes가 뽑은 'most generous celeb' 가장 사회봉사(돈으로든 시간으로든..돈이 다 아니져..) 많이 하는 선행 해외스타들입니다. 순서는 등수 아니구요. 1. U2 보컬 Bono 아프리카의 에이즈 확산 방지 캠페인과 빚 감면을 위해 백방으로 뛰고 있는 보노. 노벨평화상 후보이기도 했지요. 모금을 위해 라이브 8, 라이.. 2006. 8. 14.
'버핏 효과' 지금 세계는 기부 열풍 '버핏 효과' 지금 세계는 기부 열풍 박희진 기자 | 06/29 14:42 | 조회 891 워런 버핏의 '위대한 기부'가 연일 화제다. 최근 버핏이 전 재산의 85%인 370억달러(35조원)라는 천문학적 액수의 돈을 기부금으로 내놓자 세계적 유명인사 또는 부호들이 잇따라 기부를 하고 있다. 기부 문화에도 버핏 효과가 만발하.. 2006. 8. 14.
미국을 윤택하게 하는 `자선재단의 힘` 미국을 윤택하게 하는 `자선재단의 힘` 세계 두 번째 부자인 워런 버핏이 370억달러 (약 35조원)를 자선재단에 기부키로 한 것을 계기로 미국의 기부문화가 관심을 끌고 있다. 세계 자본주의 본고장 미국은 자선과 기부의 나라다. 기업으로 부(富)를 일군 사람들과 유명 정치인,예술인 체육인은 물론 일반.. 2006. 8.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