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의 대부분 강은 서고동저(西高東低)의 지형적 특성에 의해 서쪽에서 동쪽으로 흐른다.
중국대륙을 두 개의 큰 강을 중심으로 지역과 문화권을 구분하기도 하는데
그 강은 장강(長江)과 황하(黃河)이다.
장강을 기준으로 화중(華中)과 화남(華南)지방을 나누고
황하를 기준으로 화북과 화중지방을 나누는 분수령이 된다.
長江은 중국 최대 강으로 총길이 6300Km, 유역면적 180만 여 km로 전국토의 20%에 해당되며,
황하(黃河)는 중국제2의 강으로 총길이 5464km, 유역면적 75만 2443입방 km이다.
(1) 장강(長江 창 지앙)
길 장(長)자 이름과 같이 장강은 중국의 제일의 하천으로 나일강, 아마존 강에 이어
세계에서 3번째 긴 강이다.
우리에게는 양자강이란 이름으로 친숙한대
이는 이 이름은 강소성(江蘇省)의 남쪽 도시 양자를 경유해서 흐른다고 유래된 것이다.
장강의 발원지는 청해성의 설산으로 청해, 티베트, 사천 운남, 호북, 호남, 강서, 안휘,등
9개의 성을 경유해서 동쪽으로 흘러 상하이까지 6400km를 흐른다.
중국 땅의 20%(1/5)에 해당하는 180만 입방 km 유역을 흐르며 4억에 달하는 인구를 먹여 살린다.
쓰찬지역의 만으로도 영국과 프랑스 국민들을 합한 것보다 많은 사람들에게 물을 공급하고 있다.
장강의 중류지대부터 하류 지역은 중국 개발에 있어 매우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연도의 주요 도시로 중경(重慶), 무한(武漢) 남경(南京) 상해(上海)등이 있다.
장강의 상류는 물살이 급하고 모래사장이 많으나,
중류지역은 곡류(曲流)가 발달하여 호수가 많고,
중 하류 지역은 기후가 온난 다습하고, 강수량이 풍부해, 비옥한 토지를 형성하여
옛날부터 오늘날까지 대 도시를 이루었고
수로를 이용한 해운 교통은 경제 발전에 중추적인 역할을 하고 있다.
13세게 마르코 폴로는 장강 하류를 여행했다.
그는 이곳의 선박과 교역 규모에 매우 놀랐다.
수세기 동안 여러 종류의 배들이 쌀, 소금, 비단, 차, 기름등과 같은 생활용품들을
長江을 통해 운반해 왔다.
물론 주기적인 홍수로 인해, 수백만 헥타르의 농경지가 침수되고
수십만 명의 사람들이 목숨을 잃는 물난리를 겪는 등 문제도 있다.
2) 황하(黃河)
長江(양자강)보다 북쪽에 위치한 황하(黃河)는 매우 성격이 다른 강이다.
장강의 물살은 유유히 흘러 군자(君子)와 같다면,
황하는 콸콸 흘러 협객(俠客)과 같다.
長江(창장)중국의 중심대로, 중국의 젖줄로 불리는 반면
황허는 중국의 슬픔 도는 세계에서 가장 혼탁한 강이라 불린다.
황하는 세계 4대 문명의 발생지로 중국 북방문화를 상징 한다.
황하는 청해, 사천, 감속, 영하, 내몽고, 산서, 섬서, 하남, 산동등 9개성(省)을
경유하여 발해만으로 유입 한다.
발원지는 청해성의 빠이엔카라 산맥으로 상류는 물이 맑으나 황토고원을 경유 하면서
대량의 토사를 운반하여 황하라는 이름과 같이 강물이 황토 색깔을 띠고 있다.
황하는 물 한말에 진흙 6 되라고 할 정도로 유수(流水) 중에 포함된 토사량이 많아
1년에 16억 톤의 진흙을 하류로 운반하고 있다.
이로 인해 하류는 진흙과 모래가 퇴적되어 하상이 지면보다 높은 현상이 생기고
자주 범람하여 황하는 대표적인 해하(害河)로 손꼽힌다,
기록을 보면 역사상 1500~1600 이상 범람했고,
아주 심하게 수로를 바뀐 경우도 26회나 있어
고대 역대 제왕들은 해하(害河)인 황하 치수를 하는데 많은 공을 들였다.
그러나 황하는 중국인에게 재앙과 함께 비옥한 화북 대 평원을 형성하여 찬란한
고대 황화 문명을 태동시킨 중국문명의 요람지(搖藍地)로도 이름 높다.
세계의 문명들은 왜 모두 강가에서 생겨났을까?
농사를 지으려면 물이 있어야 하기 때문이다.
황하유역에는 선사시대와 은나라부터 수천 년간 찬란했던
중국역대 왕조의 무수한 사적들이 남아있다.
중국의 가장 중심부에는 하남성(河南省)이 있는데,
황하강(河)의 남(南)쪽에 있는 성(省)이란 뜻을 갖고 있다.
이 하남성은 바로 옛 중국 문명이 탄생되었던 지역으로
중국에서는 ‘중원(中原)’이라고 부른다.
‘강남(江南) 갔던 제비’라는 말을 들어보셨지요?
여기서 강남(江南)이란 바로 황허강 남쪽을 말합니다.
황하(黃河)는 강을 이용한 교통량은 많지 않아 장강의 1/10 정도밖에 되지 않는다.
흑룡강 (黑龍江)
중국의 최북단에 위치하며 총길이 3420km 로 중국에서 세 번째 긴 강으로
몽고, 러시아, 중국 3개국을 경유하여,
현재 중국과 러시아의 경계를 이루고 있다.
강물에 부식 물질이 많아 흑색을 뜨며, 수세가 마치 용이 꿈틀거리는 것 같다고 해서
중국에서는 흑룡강(黑龍江)이라 부르고
러시아에서는 아무강,(Amur)
몽골과 퉁그스인 들은 하라무렌(검은 강)이라 부른다.
흑룡강의 발원지는 몽고의 북족 대흥안령(大興安領)으로 중국의 최북단 막하로부터,
흑하, 손극, 동강, 무원등을 경유하여 오호츠크해로 유입된다.
여름부터 가을에 걸쳐 계절풍의 영향으로 강수량이 많고
11~4월까지는 얼음이 어는 (동결) 기간이다,
중요 임업지구이며,
수자원이 풍부하고 극동지역의 물류 수송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주강 (珠江)
중국 화남지방(華南地方)의 최대 강으로
서강(西江) 북강(北江) 동강(東江) 3개의 강이 합류하여 형성되어있고 ,
이 중 서강이 2129km로 가장 길어 주류 강을 이룬다.
발원지는 운남성(雲南省) 동부의 우멍산 지역으로 귀주 광서 광동을 거쳐 남지나해로 유입된다.
주강은 광주 남쪽의 1만 평방km에 이르는 삼각주를 형성하여
비옥한 농업지대를 형성하고 예로부터 대왜 무역이 활발하여 해상 실크로드가 열렸으며,
홍콩 심천 광주등 남부 지방의 상업 문화를 태동하였다.
오늘날 경제 특구가 설치되어 개혁 개방의 전초적 기지역할을 담당하고 있고
주강삼각주 (珠江三各州)는 에는 8000천개의 가전 기업들이 밀집되어
세계최대의 가전업체 메카로 거듭나고 있다.
'*중국의 江'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중국의 환경위기](上) 오염된 강물 (0) | 2006.01.13 |
---|---|
[스크랩] "중국 대륙 ‘환경의 대역습’…성장 앞세우다 하천 28% 썩어" (0) | 2006.01.13 |
[스크랩] 황하와 황하문명 (0) | 2006.01.11 |
[스크랩] 중국의 이름난 강 (0) | 2006.01.11 |
[스크랩] [중국문화] 황하따라 중국 문명 들여다 보기 (0) | 2006.01.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