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다큐멘터리 개론23

한국 방송다큐멘터리 분기점에 서다. 한국 방송다큐멘터리 분기점에 서다. 홍순철 / 한국얘술종합학교 방송영상과 교수 (PD 출신) 고선희 / 방송작가협회 회원 (76인의 포로들, 인간시대 집필) "방송사 PD들 중 순전히 자신의 소신대로 다큐멘터리를 만들고 방송했다는 얘기를 들은 적이 없으며 자신만의 시선과 영상어법으로 만들어 낸 작품.. 2007. 5. 2.
소외계층을 소외시키는 영상이미지 소외계층을 소외시키는 영상이미지 근래에 들어, 사회문제를 다루는 텔레비전 다큐멘터리 프로그램들의 모습이 소재나 형식면에서 부쩍 다양해지고 있다. 소재면에서 보면, 소위 '민주화'가 현재와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덜 성숙했던 시절의 전반적인 사회 정서구조에 비추어 볼 때 텔레비젼과 같은 '.. 2007. 2. 5.
다큐멘터리를 보는 두 개의 시선 다큐멘터리를 보는 두 개의 시선 출처 : FILM2.0 2005. 09. 08 다큐멘터리가 변하고 있다. 객관성, 거리두기, 현실에 대한 냉철한 응시를 미덕으로 삼았던 과거의 원칙들이 조금씩 허물어져 간다. 화석화된 규범을 깨부수고 새로운 영상 혁명을 도모한다. 다큐멘터리의 현재를 말하는 두 개의 시선을 전한다 .. 2007. 1. 8.
리트머스이고픈 다큐멘터리스트, 정수웅 -원용진 I. 다큐멘터리 작가론의 정당성 디지털 혁명은 다큐멘터리 제작에 대한 관심의 고조를 가져왔다. 16mm 포터블 카메라가 등장하던 시기의 다큐멘터리 붐과 흡사하다고도 하겠다. 그러나 디지털 기술과 포터블의 등장은 서로 다른 결과, 즉 다른 붐을 낳았다. 포터블 기술은 비판적 기능의 다큐멘터리를 .. 2007. 1. 8.
[스크랩] 다큐멘터리 제작 과정 전반에 대한 5분 다이제스트 마이클 래비거의 의 책은 총 496 페이지에 달하는 꽤 두꺼운 책이다. 또한 <다큐멘터리>란 제목으로 번역 출간된 이 책은 22000원에 팔리고 있다. 그런데 거기서 가장 쓸모 있는 부분은 [5분 다이제스트]란 부분인데, 사전작업, 촬영작업, 후반작업에서 저자가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것을 짤막하게 정.. 2006. 11. 20.
[스크랩] [별걸다] 다큐멘터리를 알려주마! (딴지일보) [별걸다] 다큐멘터리를 알려주마! 2003.7.6.일요일 딴지 별걸다 디벼보기 우원회 니덜의 이해를 돕기 위해 색깔이 다른 제목을 누질르면 그 영화에 대한 소개가 나옴(편집자 주). 볼링 포 컬럼바인 지난 봄, 정말 이례적으로 마이클 무어(Michael Moore) 감독의 <볼링 포 컬럼바인(Bowling For Columbine)>이 대형 .. 2006. 11. 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