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한국

[스크랩] 드라마 `이산` 촬영지 - 용인시 백암면

 

 

용인시 백암면 산자락에 자리 잡은 용인-MBC 드라미아는 1만 평이 넘는 부지에 거대한 규모를 자랑한다.
세트장 위로는 병풍처럼 산이 둘러싸고 있어 마치 경복궁을 보는 것 같다.

얼마 전 끝난 드라마 <신돈>의 세트장이 <이산> 세트장으로 탈바꿈했다. 세트장 한가운데 있는 인정전과 선정전, 대왕대비전, 후궁전 건물은 예전의 세트를 활용했고, <이산>을 위해 새로 지은 건물은 세트장 왼편에 자리한다. 동궁전과 죄인들을 가두는 옥사인 내냉조, 규장각, 호위정과 망루 등을 보강했다. 예전 <신돈>에 등장했던 원나라 기황후 거처와 무량수전 등은 현재 활용되지 않지만, 구경하는 재미는 쏠쏠하다. 이곳에서 감상하면 더욱 이국적인 느낌을 준다.

세종로의 광화문光化門과 다른 한자를 사용하는, 세트장 정면에 있는 광화문廣化門은 대궐로 진입하는 주 출입문으로 좌우에 옹성을 덧대었다. 옹성은 성문을 보호하고 성을 튼튼히 지키기 위해 큰 성문 밖에 원형이나 방형의 보조 성으로 외부 침입 시 측면 공격에서 화살을 쏠 수 있도록 설계한 것이다. 이것도 서울에 있는 광화문과 다른 점이다.

광화문을 열고 들어서면 인정전으로, 경복궁의 인정전과 규모 면에서 조금 작을 뿐 모양새는 아주 흡사하다. 인정전 뒤편으로 편전(선정전)이 자리 잡고 있으며, 그 왼편으로 대왕대비전인 정순왕후전이 이어진다. 대왕대비전과 편전 사이에 나연 처소가 있으며, 그 옆으로 혜경궁 홍씨 처소가 이어져있다.

광화문에서 혜경궁 홍씨 처소까지 나오는 길은 모두 예전 <신돈>의 세트장이다.
    
 
새로 지은 건물에서는 내냉조가 가장 눈에 띈다. 옥사와 형틀 등 임금이 국문을 하는 세트로 지었는데, 세세한 소품들까지 늘어서 있어 실감 나는 장면을 연출할 수 있을 것 같다. 옥사에서 나오면 동궁전과 세자의 위사가 자리 잡고 있다.

세트장의 한가운데 맨 위쪽에 자리 잡은 편전 위쪽으로는 밤나무와 소나무가 빽빽한 숲이 우거져 있다. 이곳에서 흘러나오는 물은 후궁전을 거쳐 아래쪽으로 내려오는데, 마치 경회루의 연못과 비슷한 환경이 조성돼 있다. 정말로 궁궐의 정원이라고 해도 손색이 없을 만큼 정교하다. 그 아래쪽으로는 조선 시대 육의전과 난전을 재현해놓은 듯 종이와 비단, 명주, 면포상이 보이고, 벼루와 묵, 대바구니, 유기, 한약방 등 다양한 점포가 보인다.

저잣거리 골목을 따라가면 세트장에서 가장 높은 곳에 자리 잡은 ‘무량수전’ 건물이다. 영주시 부석사의 무량수전과 흡사하게 지었는데, 부석사 안양루를 본뜬 안양문을 들어서면 가로 4칸, 세로 3칸 크기의 ‘무량수전’이 보인다. 내부 불상의 위치는 부석사의 불상 위치와 달리 촬영의 편의를 위해 정중앙에 배치했다. 드라마 <신돈> 촬영 때 쓰인 세트다.     
 
 
<이산>의 시대적 배경
이산은 조선 시대 정조가 주인공. 조선 22대 왕인 정조는 아버지 영조와 함께 조선 후기 르네상스를 이룩한 인물이다. 실리적인 탕평책으로 붕당정치의 폐해를 최소화하려 노력했고, 정계에서 소외됐던 남인을 비롯해 서얼 출신 등을 대거 기용하며 실력을 바탕으로 정치를 이끌어나간다. 더욱이 정조의 죽음은 조선 시대 최대 미스터리로 남아 이를 소재로 한 책과 영화가 나올 정도로 드라마틱한 인생을 산 군왕이다.

용인-MBC 드라미아
용인시 백암면 용천리에 자리 잡고 있으며, 세트장 뒤편으로 고만고만한 능선이 건물을 둘러싸고 있어 마치 경복궁을 둘러싸고 있는 인왕산과 북악산 산세를 보는 듯하다. 기존의 <신돈> 세트장 2만9352㎡(8894평)에 새로이 <이산>을 위해 세트를 보강하면서 규모가 더욱 대단해졌다. 멀리서 차를 타고 접근하면 정말 산중 궁궐에 접근하는 기분이다.

그러나 드라미아는 현재 <이산> 촬영을 위해 일반인 입장이 불가능하다. 용인시와 MBC 측은 드라마 촬영이 어느 정도 마무리되는 오는 12월이나 내년 초에 개방할 예정이다.
    
 
어디로 갈까?
- 전국의 돌이 모여 있는 세중옛돌박물관
다양한 형태의 옛 돌을 전시하고 있는 야외박물관이다. 전국에 흩어져 있던 석상들을 하나하나 모아 한곳에 집결해놓은 노력이 대단하다. 동자석, 문인석 등 주로 사람 형태의 돌이 저마다 조금씩 다른 모양을 하고 있는 것이 이채롭다. 무덤 앞에 세워둔 부도와 석등, 동물상 등도 볼 수 있다. 길을 따라 옛 돌들을 감상하며 산책할 수 있다.
biz hour 09:00~18:00 price 입장료 성인 5000원 tel 031-321-7001 www.stsmuseum.com

- 3000여 점의 불상이 전시된 와우정사
대한불교 열반종 본산이다. 연화산의 48개 봉우리가 병풍처럼 둘러쳐 있어 경치가 뛰어나다. 와우정사의 상징인 길이 8m의 거대한 불두 외에도 길이 12m의 열반전 와불상과 청동미륵반가사유상 등 다양한 형태의 불상을 볼 수 있다. 세계만불전에는 한국 불상을 비롯해 중국・인도・미얀마・스리랑카 등 아시아 각지에서 들여온 3000여 점의 불상이 봉안되어 있다. 열반전으로 올라가는 길에는 세계 여러 나라의 스님들이 성지에서 가져와 직접 쌓았다는 통일 기원 돌탑이 늘어서 있어 이국적이다.
tel 031-332-2472 , www.wawoo-temple.org

- 식물을 위한 식물원, 한택식물원
한택식물원은 ‘사람을 위한 식물원이 아닌 식물을 위한 식물원’이라는 모토 아래 1만여 종의 식물을 생태에 맞게 식재해놓고 있다. 눈에 잘 띄지는 않지만 국내 야생화도 1000여 종 가까이 된다. 잔디가 자라는 봄에는 잔디 위에서 맨발로 뛰놀 수 있는 너른 잔디화단도 마련했다. 산책길이 아담하고 전체적으로 아기자기하다.
biz hour 09:00~18:00 price 성인 평일 7000원, 주말 8500원 tel 031-333-3558 www.hantaek.co.kr

용인에서 뭘 먹을까?
몸에 좋은 식단, 미담 한택식물원 내에 있는 한식당 ‘미담’에서는 식물원 내에서 채취한 나물이나 산야초 등을 재료로 사용해 만든 꽃산채비빔밥과 꽃튀김 음식을 선보인다. 산채비빔정식을 시키면 계절에 맞는 나물과 탕평채를 먹을 수 있다. 정식에 포함된 메뉴는 탕평채, 취나물, 참나물, 비듬나물, 호박, 쇠고기, 버섯, 진지, 맑은장국, 궁중잡채, 야채소스무침, 계절김치, 장류, 후식 등이다.
price 산채비빔정식 9000원 tel 031-323-3747

way to way
찾아가기가 쉽지 않다. 영동고속도로 양지IC에서 나와 17번 국도를 타고 20분 정도 가면 백암 사거리가 나온다. 이곳에서 백암면 쪽으로 우회전해 ‘한택식물원’ 이정표를 보고 따라가면 오른편에 ‘MBC 드라미아’의 이정표가 보인다 

 

 

 

 

 

 

<출처;blog.empas dwlee0426>

 

 

 

 

 

출처 : ..
글쓴이 : 너와집나그네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