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기획 특집

공동체 마을8-도쿄 오히라 농원

분야 : 국제   2002.8.11(일) 17:43 편집

[공동체마을 현장을 가다 8]도쿄 오히라 농원



오하라농원에서 유기농법을 배우기 위해 연수중인 고바야시 히토미 씨가 개인 소비자별로 야채를 분류해 담고 있다. - 도쿄=이영이특파원
《세계의 농산물이 국경없이 넘나드는 요즘. 날마다 먹는 농산물은 어디서 누가 어떻게 만든 것일까. 농약이니 유전자 조작이니 하는 말을 들을 때마다 소비자는 더욱 신경쓰인다. 생산자인 농민도 갈수록 걱정이다. 얼마나 팔릴지 모르는 농산물을 재배하면서 수급을 따져보느라 불안해하느니 손쉽게 대량재배해서 중간업자에게 넘기는 게 속 편할 수도 있다. 그러다 보면 소비자 안전은 점점 멀어져간다.》

▽400년 이상된 도심농장〓도쿄(東京)시내 고급주택지가 밀집한 세타가야(世田谷)구. 오야마다이(尾山臺)역에서 5분 정도 걸어가면 갑자기 울창한 고목과 함께 지금까지와는 전혀 다른 녹색 풍경이 눈앞에 펼쳐진다. 간판도 없이 소담스럽게 자리잡은 ‘오히라(大平)농원’. 30여년 전 무농약 재배를 시작한 이래 지역주민과의 직거래를 시도, 생산자와 소비자간 제휴 시스템을 만들어낸 발상지다.

6일은 야채를 출하하는 날이었다. 농장주 오히라 히로시(大平博·79)는 오이, 토마토 등의 무게를 재서 봉투에 나눠 담느라 한창 바쁘다. 가족이라곤 부인과 둘뿐이지만 농사일을 배우러 온 연수생들이 끊이지 않아 일손이 달리지는 않는다. 이날도 남녀 연수생 5명이 그를 ‘아버지’라고 부르며 야채출하 작업에 열심이었다.

‘농장’ 하면 도시에서 멀리 떨어진 시골을 떠올리게 마련이지만 오히라씨는 “먹을거리란 소비자 곁에서 제공해야 생산이 안정적으로 되고 보관이나 유통도 안전해진다”고 강조한다.

▽얼굴 맞대는 생산자-소비자〓이곳에서 생산하는 것은 토마토 양배추 가지 피망 등 연간 30여종. 오히라농원과 직거래하는 와카바카이(若葉會)라는 소비자 모임에 매주 화, 금요일 야채를 공급한다. 회원은 대부분 반경 5㎞이내 거주자로 5명씩 소그룹을 만들어 공동으로 주문, 배달받는다. 물론 직접 야채를 사러 오는 개인회원들도 있다. 멀리 있는 소비자들이 구매를 희망하면 그곳에서 가까운 유기농가를 소개해주기도 한다.

와카바카이는 소그룹별 대표가 매달 한번씩 이 농원에 모여 어떤 야채가 얼마나 필요한지 등을 논의하고 새로 재배한 야채를 시식한 후 품평회도 갖는다. 오히라농원은 그때그때 소비자 요구를 파악해 출하량을 조절할 수 있어 안정적으로 생산활동에 전념할 수 있다. 소비자 입장에서도 “오히라농원 야채라면…”이라며 안심하고 먹을 수 있다. 이곳에서 나지 않는 야채는 오히라농원과 제휴한 인근 다른 유기농가에서 배달받는다.

▽근대농법의 폐해, 농약의 공포〓오히라씨가 1968년 무농약 재배를 시작했을 때는 유기농법이란 용어조차 생소했다. 그 자신이 농약의 공포로부터 벗어나 스스로 목숨을 지키려던 절박한 몸부림이 시초였다.

400년 이상 이어져 내려오던 오히라농원은 1950년을 전후로 농약과 화학비료를 사용한 ‘근대농업’으로 전환했다. 해충과 잡초를 제거해주고 땅을 비옥하게 하는 각종 약품의 마력은 대단한 것이었다. 농약을 안 쓰면 농산물의 품질이나 수확량이 떨어져 다른 농가와 경쟁할 수 없다고들 믿었다.

대학 졸업 후 부친을 도와 농사를 짓고 있던 그 역시 값비싼 농약을 듬뿍 사용했다. 부친은 일찌감치 비닐하우스를 이용한 ‘일본 제일의 오이생산자’로 명성이 높았다. 농약에 묻혀 살다시피 하던 부친은 갑자기 위암으로 사망했다. 얼마 후 그도 백내장으로 시력을 잃고 왼쪽귀까지 멀었다. 수술을 받고 나서도 콘택트렌즈에 안경까지 써야 간신히 볼 수 있게 된 그는 1967년 ‘사람잡는 근대농업’을 중단했다.

농산물 고르는 소비자 - 도쿄=이영이특파원

▽1300평의 ‘작은 우주’〓농약으로 찌든 땅을 살리는 데만 4, 5년이 걸렸다. 우선 지력(地力)을 되살리기 위해 화학비료 사용을 중단하고 끊임없이 퇴비를 덮어두었다. 퇴비는 인근 조경업체들로부터 처치하기 곤란한 나뭇가지나 낙엽을 얻어다가 분쇄해 직접 만들었다. 퇴비는 ‘썩히는 것이 아니라 발효시키는 것’이라는 것도 이 당시 알았다. 농약 사용을 중단하자 처음엔 해충이 들끓었지만 땅이 살아나면서 익충과 들새들도 서서히 되돌아왔다. 자연계에는 익충과 해충이 공존하기 마련이었다.

씨앗도 자신이 기른 야채에서 되받아 사용했다. 종자회사에서 파는 씨앗은 비싸기도 하지만 1대교배라서 씨를 받지 못한다. 매년 종자를 팔아먹기 위해 인공적으로 만든 만큼 사람 몸에 좋을 리도 없었다. 밭에서 거둔 씨앗이 여유가 생기면서 다른 농가에도 나눠주고 있다.

이렇게 되살아난 농장은 씨앗에서 퇴비, 생산에서 소비까지 먹을거리에 관련되는 전과정을 지역 내에서 해결하는 지역순환형 농장의 성공사례로 꼽힌다.

▽‘못나고 왜소한’ 유기농산물〓소비자와의 제휴는 우연히 시작됐다. 무농약 재배를 시작하긴 했지만 시장에 내다 팔 정도의 수확량에는 턱없이 부족했다. 게다가 벌레가 먹어 모양이 좋지 않거나 크기도 작았다. 하는 수 없이 이웃집 주부들에게 거저 나눠주었다. “모양이 이래서…”라며 미안해하면서….

그러나 오히라씨가 농약 때문에 눈과 귀가 나빠졌다, 자기 몸을 지키기 위해 무농약 재배를 한다는 소문이 퍼지자 ‘못나고 왜소한’ 야채를 구입하고 싶다는 주문이 급격히 늘었다.

그때 단골 주부 20여명이 모여 ‘와카바카이’를 만들었다. 오히라농원이 판매에 대한 걱정없이 유기농법을 계속할 수 있도록 지원하자는 취지였다. 하지만 무턱대고 ‘규모의 확대’를 꾀하지는 않았다. 오히라씨는 자신이 농사지을 수 있는 만큼만 지어 소비자에게 공급하는 대신 유기농법을 다른 농가에 전파하는데 전념했다. 와카바카이는 한때 회원이 400명까지 늘었다가 지금은 고령화 등으로 300여명으로 줄어든 상태다.

▽최고 특산물은 ‘농민’〓일개 ‘소농(小農)’일 뿐이었던 오히라씨의 작은 시도는 일본은 물론 전세계로 퍼져나가고 있다. 유기농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71년 오히라씨를 중심으로 일본유기농업연구회가 발족, 현재 회원이 2600여명이나 된다. 와카바카이 같은 직거래 조직도 수천 곳에 이른다.

재배과정을 직접 보려고 소비자단체, 학교 등에서 연간 1000여명이 이곳을 찾는다. 유기농법에 공감해 이곳에서 먹고 자며 일하는 연수생들도 끊이지 않는다. 올 4월부터 연수 중인 고바야시 히토미(小林仁美·27·여)는 “내년 봄 고향인 니가타로 돌아가 유기농법 야채를 재배하는 게 꿈”이라며 땀을 닦았다. 지금까지 이곳을 거쳐간 연수생은 150여명. 그중 30여명이 농업을 시작했다. 농가에 시집을 간 아가씨도 3명이나 된다.

“얼마 전에는 연수생 하나가 청년해외협력대로 잠비아에 파견됐답니다. 개발도상국에 유기농법을 전하기 위해서죠. 그런 사례가 늘면 모두가 농약의 공포에서 벗어날 수 있겠죠.”

오히라씨의 말을 들으니 이 농장의 특산물은 단순한 유기농산물이 아닌, 그 농산물을 사랑하고 이어가는 ‘진정한 농민’일지도 모른다는 생각이 들었다.

도쿄〓이영이특파원 yes202@donga.com

▼농장주 오히라 히로시 인터뷰

한국에서도 유기농법을 시도하는 농가가 많지만 포기하는 경우도 적지 않다. 평생을 유기농에 전념해올 수 있었던 비결을 오히라 히로시(사진)에게 물어봤다.

“무엇보다 탄탄한 소비자조직의 지원이다. 물론 경제적인 부분보다는 정신적인 지원이 크다. 내가 기른 야채가 소비자들에게 사랑받고 있다고 생각하면 한시도 쉴 수가 없었다.”

-일반적으로 유기농을 시도하다가 판매에 어려움을 겪는 경우도 많은데….

“소비자는 일반 슈퍼나 시장보다 비싸면 외면하기 마련이다. 우리는 슈퍼나 시장과 같은 수준의 가격으로 판다. 슈퍼나 시장은 생산자가격의 3∼5배나 마진을 남긴다. 직거래를 통하면 그 마진이 없기 때문에 농산물을 제값 받고 팔 수 있다.”

-이 농장의 연간 수입과 지출은 어떻게 되나.

“유기농법에 충실하면 농사짓는 데는 비용이 거의 들지 않는다. 씨는 직접 거둔 것으로 뿌리고 퇴비도 직접 만든다. 돈이 든다면 야채를 담는 포장재 값과 퇴비원료를 잘게 부수는 분쇄기의 연료비 정도다. 그저 두 식구 먹고살면 되기 때문에 수입은 셈해 본 적이 없다.”

-땅값이 비싼 도심에서 농사를 지으면서 땅을 팔고 싶은 유혹은 없었는가.

“물론 땅을 팔라는 요구도 많았다. 그러나 이 땅은 조상 대대로 농사를 지어온 땅이고 큰 돈이 생긴다고 해도 쓸데가 없다. 게다가 땅을 팔거나 용도를 변경할 경우 세금이 엄청나다. 녹지를 주변에 남겨두길 원하는 이웃들도 많다.”

-농사를 지을 때 가장 힘을 쏟는 부분은….

“무엇보다도 퇴비가 중요하다. 도심에서도 얼마든지 퇴비원료를 손쉽게 구할 수 있다. 충분히 발효시켜 1년에도 몇 번씩 밭에 힘을 길러준다. 그래야 건강하고 영양이 풍부한 농산물을 거둘 수 있다.”

-유기농법 확산을 위해 어떤 일을 해왔나.

“특별히 소란스럽게 해온 일은 없다. 다만 강연을 요청하면 전국 어디라도 달려가 내가 해온 농법을 설명해왔다. 또 씨앗에 여유가 생기면 다른 농가에 나눠주는 종자교환을 계속해오고 있다.”

 
  Copyright donga.com . email: newsroom@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