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첫 사도들의 부름 : 바티칸궁 |
![](http://www.hakane.com/museum/vaticanno/vaticanno11.jpg)
|
도메니코 길란디이오 : 첫 사도들의
부름 |
산상수훈과 문둥병자를 고침 : 바티칸궁 |
![](http://www.hakane.com/museum/vaticanno/vaticanno12.jpg)
|
코지모 롯셀리와 피에로 디 코지모 : 산상수훈과 문둥병자를
고침 |
열쇠를 넘겨 줌 :
바티칸궁 |
![](http://www.hakane.com/museum/vaticanno/vaticanno13.jpg)
|
페루기노 : 열쇠를 넘겨 줌 |
최후의 만찬 :
바티칸궁 |
![](http://www.hakane.com/museum/vaticanno/vaticanno14.jpg)
|
코지모 롯셀리 : 최후의
만찬 |
시스틴 예배당의 루넷과 천장 : 바티칸궁 |
![](http://www.hakane.com/museum/vaticanno/vaticanno15.jpg)
|
시스틴 예배당의 주전과 천장 : 미켈란젤로는 천장(총 면적 약 520평방미터) 프레스코 작업을 교황 율리우스
2세와 계약한 날짜인 1508년 5월 10일에 시작하였다. 그는 입구에서부터 시작함으로써, 천장 중앙에 묘사된 창세기의 9가지 이야기 순서와는
역순으로 작업을 하였다. 그가 첫번재로 그린 것은 1508년 9월에 시작한 홍수 이야기이다. 노아의 생애에 대한 3가지 그림과 배경 그림은
조수들의 도움을 받으면서 그린 반면, 삼각 소간과 루넷에 그려진 5명의 선지자, 4명의 이그누디,예수의 조상들은 미칠란젤로 자신이 직접 그렸다.
그리고 동시에 천장 벽화와 다 윗과 유디트의 이야기를 그렸다. 원죄 그림을 시작한 1509년 말엽에 미켈란젤로는 그의 모든 동역자들을 내보내고
제자들의 도움만으로 작업을 계속하였다. 그는 제자들로 하여금 틀이나, 원형 창 혹은 푸티 같은 부차적인 일들을 시켰다. 1510년 8월에
프레스코 작업의 반이(입구에서 이브의 창조까지) 끝났다. 이 일을 끝내고 미켈란젤로는 몇 달 동안 쉬었다. 성모 몽소승천 축일인 1511년 8월
15일 에 천장 일부분이 모습을 드러냈다. 다음해 모든 성인의 날인 11월 1일에 모든 작업은
끝났다. |
최후의 심판 : 바티칸 궁 |
![](http://www.hakane.com/museum/vaticanno/vaticanno16.jpg)
|
시스틴
예배당의 총 226평방미터에 달하는 제단 벽면을 차지하는, 이 프레스코 작업은 원래 클레멘트 7세 시절에 계획되었으나 그의 후계자 바오로 3세
파르네세가 실제 작업을 명하였다. 당시 61세였던 미켈란젤로가 그림을 중단한 지 20여 년만에 다시 복귀하였다. 1541년 10월 31일,
교황이 제막식을 거행했지만, 사실은 다 완성되지 않았다. 작업일수 450여 일을 보낸 뒤인 17월 18일에야 완성되었다. 작품 한복판에
사람들에게 둘러싸인 예수님이 서 있고, 어떤 사람들은 천국으로 들림을 당하고 어떤 이들은 지옥으로 떨어지고 있다. 작가는 그 옆에다 성
바돌로매의 벗겨진 껍질의 모습으로 자신의 자화상을
그렸다 |
볼로냐 방의 천장 : 바티칸
궁 |
![](http://www.hakane.com/museum/vaticanno/vaticanno17.jpg)
|
볼로냐 방의 천장 : 이 이름은 볼로냐 전체 도시 모양을 그린 지도에서 유래된 것이다. 이 방은
그레고리 13세 때 건설된 것 중 일부이다. 천체 12궁 성좌의 그림은 1575년 지오반니 안토니오
바노시노가 그린 것이다. |
콘스탄틴의 방 (기울리오 로마노) :
바티칸 궁 |
![](http://www.hakane.com/museum/vaticanno/vaticanno18.jpg)
|
이
그림은 폰테 밀비오 전투를 보여 주고 있다. 이곳에서 콘스탄틴은 예수의 이름으로 싸워 312년 10월 28일에 막센티우스를 격퇴시켯다(콘스탄틴
대제는 병사들의 방패에 예수의 도안 문자를 사용했다). 이 전쟁 이후 기독교는 로마 제국 전역에 공식 국교로 공포되었다(밀란 칙령
313). |
헬리오도루스의 방 : 라파엘과 조수들 (바티칸
궁) |
![](http://www.hakane.com/museum/vaticanno/vaticanno19.jpg)
|
레오
10세와 아틸라 사이의 만남은 세속 권력에 대한 영적 권력의 우월함을 나타낸다. 교황 레오 대제는 레오 10세 메디치의 모습으로 나타나
있다. |
스탄자 델라 세그나투라. 라파엘. 파르나수스 : 바티칸
궁 |
![](http://www.hakane.com/museum/vaticanno/vaticanno20.jpg)
|
스탄자
델라 세그나투라, 라파엘, 파르나수스, 음악과 시로 상징화된 미의 비유, 수금을 가진 아폴로, 아홉의 뮤즈신(튜비를 가진) 서사신, 그리고
시인들 속에 있는(키타라를 가진) 서정 신, |
아담과 이브의 유혹 : 바티칸
궁 |
![](http://www.hakane.com/museum/vaticanno/vaticanno21.jpg)
|
스탄자
델라 세그나투라의 천장, 라파엘과 조수들, 천장을 장식하고 있는 판넬 중 하나는 아담과 이브의
유혹이다. | | |
자료출처 카페 배낭길잡이에 jinny님이 제공한 것
|
.. |
피 에 타 : 바티칸 궁 |
![](http://www.hakane.com/museum/vaticanno/vaticanno01.jpg)
|
피에타는 미켈란젤로가 카라라 대리석 한 덩어리로 조각하여 만든 것으로 성모 마리아의 어깨띠에 있는 글귀와 함께
자신의 서명도 기록하였다. 이것은 미켈란젤로의 서명이 들어간 유일한 작품이며, 로마 주재 프랑스 대사인 그로슬레이에 추기경 쟝 드 빌리에의
명으로 만든 것이다. 21세의 미켈란젤로가 1498년에서 1500년 까지 2년에 걸쳐 완성하였다. 디 작품은 전 세기에 프랑스에서 유행한 주제를
본떠 만든 것이다. 그러나 미켈란젤로는 우리에게 그전과는 전혀 다른 죽은 아들을 안고 있는 마리아의 모습을 보여 주었다. 실물
사이즈의 완벽한 균형, 서로의 관계, 젊지만 시간을 초월한 얼굴 모습, 마리아의 차분하면서도 슬픔을 머금은 체념, 미켈란젤로의 고전적인 훈련과
그가 레오나르도의 예술에서 얻은 영감을 유감없이 발휘하였다. 이 작품에서 구원의 개념은 이전까지는 항상 슬픔과 연관되었던데 비해 고전적인 고요의
아름다움으로 표현되는 듯하다.
|
리콜라스 5세의 예배당 : 바티칸
궁 |
![](http://www.hakane.com/museum/vaticanno/vaticanno02.jpg)
|
교황청은 아비뇽 망명에서 로마로 다시 돌아모자 바티칸과 시의 개조 작업을 시작하였다. 1447년과 1451년
사이에 도미니칸 수사인 프라 안젤리코가 교황 니콜라스 5세 파렌투첼리의 개인 예배당에 성 스테판의 일대기(루넷 내부)와 성로렌스의 생애를
프레스코로 그렸다. |
산드로 봇티첼리, 모세의 생애에서 : 바티칸
궁 |
![](http://www.hakane.com/museum/vaticanno/vaticanno03.jpg)
|
시스틴 예배당. 신.구약성경에서 온 이야기들. 두 개의 그림 이야기는 각각 모세와 예수 구상화의 생애를 보여 주는 7개의
프레스코로 이루어져 있으며, 예배당 양쪽의 긴 벽을 장식하고 있다. 1481년에 시작된 이 작품들은 초기 르네상스의 움브리안 투스칸식의 완숙한
종합을 보여 주고 있다. 제단과 입구 벽면에 있었던 4개의 프레스코가 없어졌는데, 두 개는 미켈란젤로가 그 위에 최후의 만찬을 그리면서 없어졌고
나머지 두 개는 1522년에 벽이 무너지면서 소실되었다(루카 시뇨렐리의 "모세의 시체에 대한 논쟁"과 길란다이오의 "예수의 부할" 이 16세기
후반에 마테오 다 레체와 일명 일 팔루다노라고 불렸던 아리고 반 데 브로엥에 의해 다시 그려졌다). 식스투스 4세도 수립하고 피에트로
페루기노에게 위임한 프레코 스타일의 도상 계획은 그 어느 권력보다는 교황의 보편적 우월성을 강조하고 있다. 이 작업에서 핀투리키오, 코지모
롯셀리, 피에로 디 코지모, 산드로 봇티첼리, 도메니코 델 길란다이오 그리고 루카 시뇨렐리가 페루기노를 도왔다. 1483년 8월 15일 예배당은
봉헌되고, 성모에게 헌정되었다.
|
모세의 이집트 여행 : 바티칸궁 |
![](http://www.hakane.com/museum/vaticanno/vaticanno04.jpg)
|
페루기노와 핀투리키오 : 모세의 이집트
여행 |
홍해를 건넘 : 바티칸궁 |
![](http://www.hakane.com/museum/vaticanno/vaticanno05.jpg)
|
코지모 롯셀리 : 홍해를
건넘 |
모세와 십계명 돌 : 바티칸궁 |
![](http://www.hakane.com/museum/vaticanno/vaticanno06.jpg)
|
코지모 롯셀리와 피에로 디 코치모 : 모세와 십계명
돌판 |
아비람의 심판 : 바티칸궁 |
![](http://www.hakane.com/museum/vaticanno/vaticanno07.jpg)
|
산드로 봇티첼리, 고라, 다단 : 아비람의
심판 |
모세의 죽음 : 바티칸궁 |
![](http://www.hakane.com/museum/vaticanno/vaticanno08.jpg)
|
루카 시뇨렐리 : 계명과 모세의
죽음 |
예수의 세례 : 바티칸궁 |
![](http://www.hakane.com/museum/vaticanno/vaticanno09.jpg)
|
페루기노와 핀투르키오 : 예수의
세례 |
예수의 시험과 문둥병자를 고침 :
바티칸궁 |
![](http://www.hakane.com/museum/vaticanno/vaticanno10.jpg)
|
산드로 봇티첼리 : 예수의 시험과 문둥병자를
고침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