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HD촬영을 위한 몇 가지 유용한 방법들
앞서 두 번에 걸쳐 연재되었던 HD카메라 활용방법에서는 HD카메라의 특성과 활용 접근법 을 이해하기 위한 기본 개념과 정보에 관해서 설명하였고, 마지막 순서인 이번 글에서는 이 전에 설명한 기본 개념들을 바탕으로 실제 촬영에서 필요한 몇 가지 중요한 내용들에 대해 서 살펴보고자 한다.
1. HD 모니터의 표준 셋업
편집실에서 또는 현장에서 사용하는 HD모니터의 경우, 정확한 표준 상태로 셋업이 설정되 어야만 촬영하는 영상의 상태를 정확하게 확인하고 기준을 설정할 수 있다. HD의 경우, SD 모니터에서는 확인할 수 없는 내용들을 훨씬 더 섬세하게 표현을 해 주기 때문에, 촬영단계 부터 후반 포스트 프로덕션 단계까지 일관된 기준치에 의해 정확한 HD촬영을 하기 위해서 는 정해진 기준에 맞는 HD 모니터의 셋업이 중요하다.
HD모니터를 표준화 셋업 하는 순서는 아래와 같다.
(1) 약간의 예열 시간이 필요
모니터가 정상적인 영상을 표현하기 위해서는 약간의 예열 시간이 필요하기 때문에, 모니터 의 전원을 켜고 곧바로 셋업을 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2) SMPTE Color Bar 출력
모니터 셋업의 기준이 되는 SMPTE Color Bar를 출력한다. (일반적으로 카메라에서 신호를 출력하면 된다.)
(3) 일반적인 모니터 셋업 비율
모니터의 표준 셋업 비율은 일반적으로 Contrast : Brightness:Chroma의 비율로 설명하는 데, 셋업 방법은 한가지만 있는 것이 아니고 국가별, 작업 방식별로 차이가 있다. 예를 들어, SONY에서 권장하는 셋업 비율은 Contrast : Brightness : Chroma = 8 : 5 : 5의 비율인데, 일본의 방송용 모니터 셋업 비율도 이와 유사하다. 반면, 홍콩이나 미국의 경우는 약 6(~7) : 5 : 5 정도로 Contrast의 비율을 훨씬 낮춘 셋업 비율을 사용하는 편이며, Film Transfer 를 전제로 하는 경우는 필름과 스크린의 특성에 맞게끔 조절해야 한다.
국내 방송프로그램 제작용도로는 SONY 권장비율인 약 8 : 5 : 5 비율 정도가 적합하다. 일반적으로 촬영 현장에서 사용하는 9인치(~14인치) HD모니터는 셋업값(Setup Value)이 0~200의 가변치 범위를 가지고 있고, 20인치 이상의 모니터들은 0~2000의 가변치 범위를 가 진다.
여기서 중요한 것은, 각 모니터 메뉴 셋업값 수치 자체가 주요한 것이 아니고 비율이 중요 하다. 모든 모니터는 상태와 사용 시간에 따라서 약간씩 차이가 있을 수 있기 때문에 같은 셋업값을 입력시키더라도 다르게 표현될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앞서 설명한 비율치를 기 준으로 대략적으로 설정한 후, 다음에서 설명하는 방법에 따라 Manual로 미세 조정을 해야 한다.
(4) Contrast Setup
우선 첫 번째로, 모니터의 Contrast를 조절한다.
앞서 설명한 대략적인 비율 기준치로 값을 맞춘 다음, 모니터에 나타난 SMPTE Color Bar 를 보면서 조정하는데, 화면의 좌측 하단에 위치한 White Block(100IRE)를 보면서 전체적인 비율과 함께 고려하여 조절한다. 조절 범위는 White가 지나치게 밝아서 주변부까지 번지지 않는 범위로 조절하면 된다(Contrast 조절은 이미지에서 하이라이트 디테일 표현과 관련이 있다).
(5) Brightness Setup
두 번째로, Brightness 조절은 Color Bar의 우측 하단에 위치한 세 개의 세로 막대(PLUGE Bars)를 보면서 조절한다.
각각의 PLUGE Bar는 (-), 0, (+)의 범위를 나타내고 있기 때문에, 모니터의 Black Level을 0IRE로 설정하기 위해서는 맨 오른쪽의 PLUGE Bar 하나만 보이는 정도로 조절해야 한다.
HD모니터의 Brightness 조절은 암부 디테일 표현과 관련이 있으며, 출력되는 SMPTE Color Bar는 Standard Signal Generator에서 출력되는 신호이다. 그렇기 때문에, 카메라 자 체의 Black Level 설정과는 관련이 없으며, 이에 대한 설명은 뒤에서 다시 하기로 한다.
(6) Chroma Setup
다음으로, Chroma의 조절은 HD모니터를 Blue Only 상태로 설정한 후, Grey 상태로 표현되 고 있는 각각의 Color Bar들의 경계부분 표시 상태를 보면서 설정한다. 윗부분과 아랫 부분 의 경계가 보이지 않고, 하나의 회색 막대로 보이면 정상적으로 설정된 상태이다.
그림1. HD모니터의 Contrast 조절 |
그림2. HD모니터의 Brightness 조절-잘못 설정된 상태 |
그림3. HD모니터의 Brightness 조절-정상 설정 상태 |
그림4. HD모니터의 Chroma 조절-잘못 설정된 상태 |
그림5. HD모니터의 Chroma 조절-정상 설정 상태 |
2. 렌즈의 표준
셋업
HD카메라의 렌즈 표준 셋업이라함은 일반적으로 정확한 촬영을 하기 위해서 조절하는
Back Focus Alignment를 말한다.
SD급 카메라에서 Back Focus Alignment를 조절할
때에는, 3m(10ft) 거리에서 Focus Chart 를 놓고 Zomm In/Out을 반복하면서 조절을 하지만, HD카메라에서는
Viewfinder의 해상도 가 HD모니터의 해상도보다 낮기 때문에, Viewfinder를 통해서 육안으로 조절하는 것이 정 확하지 않을 수
있다. 특히, HD의 경우는 화면이 섬세하기 때문에 약간의 부정확한 조절이 실제 화면에서는 크게 부각되어 나타나기 때문에, 보다 정확한 셋업이
요구된다.
이러한 HD의 특성을 고려하여, 가장 정확한 조절을 하는 방법은 별도의 Back Focus
Alignment Tool과 Waveform Monitor를 함께 이용하여 조절하는 방법이
있다.
Carls Zeiss社의 Sharp Max with Universal Adapter Rings은
현재 사용되고 있는 모든 종 류의 렌즈에 맞도록 나와 있기 때문에, 서로 다른 렌즈의 구경과 상관없이 사용할 수
있다.
조절 방법은, HD카메라에 렌즈를 장착한 상태에서 렌즈의 앞면에 Sharp Max를 부착하고,
Focus를 무한대, 조리개를 개방상태로 놓은 다음, Waveform 상태를 보면서 렌즈의 Back Focus Alignment 나사를 풀어
조절하면 된다.
정확하게 맞은 상태를 확인하는 방법은, Back Focus Alignment 나사를 돌리는
것에 따라 Waveform 파형의 중앙 상단 부분이 위․아래로 움직이게 되는데, 이것이 맨 위 정점에 위 치할 때가 정확하게 Back
Focus가 맞은 상태이다.
Carl Zeiss社의 Sharp Max With Universal Adapter Rings |
Zoom 렌즈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우선 3m(10ft) 상태에서 위의 방법으로 확인 한
다음, 광 각쪽 초점 거리와 망원쪽 초점 거리를 몇 군데 추가로 더 확인해 보면 오차가 없음을 확인 할 수 있을 것이며, 최종적으로 임의의
거리에 Focus Chart를 놓고 실제 거리를 Scale로 측 정해 렌즈의 눈금과 확인해 볼 수
있다.
3. HD카메라의 표준 셋업
현재
국내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SONY HDW-F900과 HDW-750 카메라는 내부의 이미지 셋업을 조절하여 다양한 형태의 이미지를 얻을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한편으로는, 카메라의 초기 Factory Setup 상태는 국내에서
일반적이고 정상적으로 촬영하기 위한 기본 조건과는 다소 맞지 않게 세팅되어 있기 때문에, 촬영에 앞서서 카메라 의 초기화 셋업이 필요하다(이것을
설명하기 위한 기본 전제 개념들을 앞선 글들에서 설명 한바 있다).
(1) Black Level
조정
Analog SD에서는 기본 Black Level이 7.5IRE로 설정되어 있지만, Digital
Video에서는 0IRE로 설정되어야만 한다. 그런데, 예를 들어 HDW-F900 카메라의 경우, Factory Setup 상태(Master
Black=0)에서는 Black Level이 5IRE로 설정되어 있고, HDW-750의 경우도 0IRE보다 높은 범위에 Black Level이
설정되어있다. 이 상태 그대로를 촬영하게 되는 경우, HD모니터에서는 큰 차이를 느낄지 못할 수 도 있지만, SD로 다운컨버팅 되었을 경우 기본
Black LEvel이 7.5IRE보다 위쪽에서 설정되기 때문에 전체적인 화면, 특히 암부 영역에서 뿌옇게 나타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HD:0IRE→SD:7.5IRE, HD:5IRE→SD:10IRE↑).
국내에서 HDTV 보급율이
빠르게 성장하고 있지만, 여전히 많은 시청자들이 SDTV로 방송 을 시청하고 있고, HD로 촬영된 영상은 SDTV에서도 SD급 카메라로 촬영된
영상보다 좋 게 보여야 한다는 기본 전제를 이해한다면, 이것은 반드시 조정되어야 하는 부분이다. Black Level을 조정하는 방법은
Master Black을 조정하는 방법과 Black Gamma를 이용하 는 두 가지 방법이 있다. 두 가지 방법에는 약간의 차이가 있는데,
Master Black를 조정하 는 것은 Gamma곡선 전체의 형태를 뒤틀어버릴 수 있는 단점이 있고, 대신 Black Gamma 는 정해진
영역 범위 내에서만 안전하게 암부 디테일을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나 사용 범위에 따라서 Black Level의 절대값의 변화를 주지
못하면서 암부 디테일을 지나치게 죽이 는 단점을 초래할 수도 있다.
필자가 그 동안 해 왔던 많은 테스트와
HD촬영 경험에 의하면, Black Gamma는 기본 설정 을 OFF 상태로 해 두어도 무난하며, Master Black 값만을 아주 약간
조정하여 Black Level 을 0IRE로 맞추는 것이 가장 적절하였다(다만, Black Gamma의 경우는 촬영하는 상황에 따 라서
가변적으로 조정하는 것이 필요하다).
여기서 한가지 참고할 점은, HD카메라의 Rotary Encoder는 1칸(Click)의 이동이 Master
Black의 절대치(값) 1을 변화시키지 않는다. 다시 말해서, HDW-F90 카메라의 경우는 Master Black의 변화값 절대치 1을
바꾸기 위해서는 Rotary Encoder를 4칸(Click) 변화시켜 야 하며, HDW-750의 경우는 10칸(Click) 이동시켜야
한다.
그렇기 때문에, HDW-F900에서 Black Level을 0IRE로 설정하기 위해서는 정확하게 Rotary Encoder를
16칸(Click) 이동시킬 때 Master Black=(-4)로 설정되며, 이때 Black Level이 정 확하게 0IRE 상태로 설정되고,
비로소 자연스러운 이미지를 얻을 수 있게 된다.
(2) White Clip 및 Knee Point
조정
하이라이트 표현과 관계가 있는 White Clip, Slope, Knee Point 조정의 경우,
Black Level 만큼 복잡하지는 않으나 자연스러운 표현을 위해서는 역시 조정이 필요하다.
그러나, 이
부분은 촬영 단계에서 독단적이고 임의로 설정치를 정할 수 있는 부분은 아니고, 각 방송사의 송출 기술 표준 범위 내에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시 말해서, HDW-F900이나 HDW-750 카메라의 경우 White Clip의 상한치가 108~112IRE까지 조정 가
능하지만, 만약 송출 단계에서 White Clip을 100IRE로 설정해 놓았다면, 촬영에서는 풍부하 게 표현되었던 하이라이트 디테일들이 실제
방송에서는 모두 하얗게 날라버린 상태로 방송 나갈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정확한 표준 상태의 조정을
위해서는 해당 방송사의 송출담당 부서에 문의하 여 White Clip 값 설정을 참고하는 것이 바람직 할
것이다.
한가지 참고할 점은, 카메라에 있는 DCC (Dynamic Contrast Control) 기능을
ENG 촬영에 서는 적극적으로 사용하는 것도 검토해 볼 수 있다. 이 DCC 기능을 Auto Knee라고 부르 기도 하는데, DCC ON 설정을
하게 되면 카메라의 Paint Menu에 있는 White Clip, Slope, Knee Point는 Manual로 입력하였더라도 실제로는
자동값으로 설정된다. 그렇기 때문에 Manual로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반드시 DCC 스위치를 OFF 상태로 놓고 사용해야 하 는 것을
주의해야 한다.
HDW-750 카메라의 경우 DCC기능이 600% White까지 처리해 주기 때문에,
경우에 따라서 는 Manual로 White Clip, Knee Point를 설정하는 것 보다 훨씬 풍부하게 표현해 주는 경우 가 많기 때문에,
조명 여건 등의 촬영 상황이 다양하게 변할 수 있는 ENG촬영에서는 오히 려 충분히 좋은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3) Standard Gamma 조정
Master
Gamma의 경우, (+)값으로 변화했을 때는 전체적인 채도가 다소 떨어지고, (-)값으 로 갈 때 채도가 높아지는 특성이 있다. 그렇기 때문에
적절한 채도 효과를 위해서는 약간 (-)값으로 조정된 상태가 적당할 수 있으나 과도하게 (-)범위로 이동시키면 전체적인 Luminance
Level이 낮아져서 화면이 어두워지고, 조명량이 더 필요하게 되는 부작용을 가 져올 수 있으므로 적절한 수준으로 기본 설정을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중요한 것은, HDW-750이나 HDW-F900 카메라에서는 기본적으로 Standard
Gamma Table 기능을 제공하고 있고, Gamma Level Master 항목은 기본 범위 내에서 세부 조정을 하는 것이기 때문에 이것을
조정한다고 해도 과도하게 Gamma 특성이 변하는 것은 아니다.
그렇기 때문에, 우선 Standard
Gamma Table을 현재 국제 표준으로 사용하고 있는 ITU-709(4.5) 모드로 설정을 해 두고, 세부 조정으로 Gamma Level
Master를 조정하는 것 이 올바른 순서이다.
Gamma Level Master의 경우, 적당 허용치 범위가 메뉴값에서
(-35)~(-15) 범위인데, 중간 정도인 (-25) 정도면 무난하게 적정 수준의 채도 효과를 얻을 수 있다. Gamma Crossover의
경우는, GreyScale 챠트를 놓고 설정했을 경우, 일반적으로 45IRE~55IRE 사이 범위가
적당하다.
(4) Standard Color Matrix 조정
HD카메라의 Color Matrix는, Preset Matrix, User Matrix,
Multi Matrix 기능으로 분화되어 있는데, 실제로 각 기능들을 막강한 성능을 가지고 있지만 일반적인 ENG촬영에 있어서 각 Color
Matrix를 조정해서 촬영하기란 쉽지 않다.
그렇기 때문에, 무난하고 바람직한 사용 방법은 Preset
Matrix를 현재 국제 표준으로 사용 하고 있는 모드로 설정을 해 두고, White Balance와 적절한 조명을 이용해 화면 전체의
Color톤을 유지하고 세부적인 Color 조정은 후반작업 단계에서 보정하는 것이 가장 현실적 인
방법이다.
조정 방법은 위의 그림에서와 같이, User Matrix와 Multi Matrix 기능은
OFF로 설정해 두 되, Preset Matrix만을 ON으로 설정하여 ITU-709 모드로 선택하면
된다.
(5) Detail Enhancement
고화질의
특성의 HD화면에 있어서 일반적으로 사람들이 기대하는 것은 선명한 화면이 다. 그러나 HD촬영을 해 본 촬영감독들이라면, 기대했던 것만큼 선명한
이미지를 얻지 못한 경험을 가진 경우가 있을 것이다.
촬영되는 화면의 선명함을 설정하는 Detail
Enhancement 기능의 경우, HDW-750과 HDW-F900 카메라에서는 매우 섬세하게 그 정도를 조절할 수
있다.
비디오 화면의 경우, 35mm Film에 비해서 깊은 피사계 심도 특성과 함께 상대적으로 좁은
Display 매체의 특성으로 인해서 피사체와 배경이 2차원적으로 붙어 보일 수 있기 때문에, 화면의 선명함을 만들기 위해서 피사체의 외곽
테두리 부위에 실제로는 존재하지 않는 가상 의 선을 인위적으로 만든다. 이것을 Artificial Fact라고도 하며, 적당히 사용되는 경우
화면 이 선명해 질 수 있지만, 지나지게 되면 화면은 거칠어 보이고 특히 다른 포맷으로 전환하 는 경우 깨끗하지 못한 영상으로 나타날 수도
있다.
그러나 프레임 내에서 피사체에 대한 많은 정보가 담겨 있는 Full Shot이나 Long Shot의
경우, 압축 비디오의 특성상 세부적인 Detail 표현이 저하되는 경우가 있고 이미 기록되어 있는 영상 데이터를 가지고서 후반작업에서 복원하기
힘들기 때문에 촬영에서 적당한 수준 으로 Detail Enhancement를 살려서 촬영해야만
한다.
또한, HD로 Mastering 된 것을 SD급으로 Down Conversion하는 경우, 이
과정에서 자동으 로 Detail Enhancement 기능이 자동으로 다시 추가되기 때문에, HD 모니터에서 최적화 된 영상의 경우에도 SD급
모니터에서는 거친 영상으로 표현되는 경우가 있다. 그렇기 때문 에 HDTV와 SDTV에서 동시에 사용되는 영상물의 경우에는, 사전 테스트를
통하여 HDTV 와 SDTV 둘 다 만족시킬 수 있는 적절한 Setup 수준을 확보하여 설정한 상태로 촬영해야 한다(HDW-750 카메라에서는
SD Detail Enhancement 기능을 따로 내장하고 있다).
카메라의 Detail Enhancement 각 기능 항목들이 의미하고 있는 것은 아래와
같다.
*LEVEL : 전체적인 Detail Enhancement의 정도를
조절한다.
*LIMITTER : 위.아래 방향으로 진행되는 신호의 길이를
제한한다.
*CRISPEN : 피사체의 표면 질감 표현과 관련. 적정 수준 이상으로 조절하게 되면 피사체에
서 노이즈가 발생하게 된다.
*HV RATIO : Detail 라인의 폭(두께)를
결정한다.
*FREQ : Detail Enhancement의 신호 증폭 발생 빈도를 결정한다. 가변치는
-99~+99이며, +99의 값은 육안으로 거의 보이지 않을 정도의 Detail Enhancement 수준으로
만든다.
*LVL DEP(Level Dependent) : Detail Enhancement 기능을
적용시켰을 때, Shadow 영역에 서 발생할 수 있는 노이즈를 제한한다. 표시하고 있는 가변치의 단위는 IRE에 해당하며, 설 정한 IRE
보다 아래의 영역에서는 Detail Enhancement 기능을 적용시키지 않는다.
*DETAIL
& DVL DEP : 각각의 기능 설정을 ON/OFF 시킬 수 있다.
한 가지 참고할 것은,
Detail Enhancement 기능은, 촬영에서 설정한 것은 후반작업에서 제 거하기 힘들지만, 촬영에서 사용하지 않았던 것을 후반작업에서
설정하는 것은 어느 정도 가능하다는 것을 염두해 두고 사용하는 것이 좋다.
4.
맺으며
지금까지 3회에 걸쳐서 살펴보았던 HD카메라의 다양한 기능들을 한정된 지면으로 모두
설 명하기에는 너무나도 많은 양의 정보들이고, 또한 실제 테스트와 병행해 가며 이해해야 하 는 내용들이기 때문에, 글로서 모두 설명하는데
부족함이 많았다.
카메라의 기능적인 측면에서의 기술지식이 촬영이라는 큰 범주 내에서 차지하는 것은 극히
일부분이겠지만, HD촬영 시스템으로 전환되어가면서 과거에 비해서 중요해 지는 것은 사실 이다. 그렇기 때문에 HD제작에서는 기술적인 이해
접근법과, 미국의 DP 시스템(촬영감독과 카메라 오퍼레이터의 분리 형태) 또는 일본의 현장 기술감독 시스템(촬영감독 출신의 기술 감독, 미국의
DP와 유사한 개념)과 같이, 제작에서의 구조적인 측면에서 새로운 접근법이 함께 필요하지 않을까 개인적으로 생각해
본다.
지면 여건상 글의 내용에 대한 충분치 못한 설명으로 아쉬움이 남지만, 빠르게 발전하고 있 는 국내
HDTV제작 수준을 보면서, 세계시장에서 경쟁력을 갖춘 한국의 HDTV방송 서비스 를 기대해 본다
'Media Forum'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영상포엠-<내마음의 여행><간이역> (0) | 2007.01.11 |
---|---|
HDTV보도및 다큐멘터리제작에 관하여... (0) | 2007.01.11 |
[스크랩] HD 카메라 촬영정보(2) (0) | 2007.01.08 |
[스크랩] HD 카메라 활용방법(1) (0) | 2007.01.08 |
[스크랩] 한-싱가포르, `HDTV 국제 공동제작 프로젝트` 힘찬 출발 (0) | 2006.12.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