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영화 바로알기

[스크랩] 영화 ‘다빈치 코드’, 세 가지 관점으로 보기

영화 ‘다빈치 코드’, 세 가지 관점으로 보기


세계적 베스트셀러 소설을 제목 그대로 영화화 한 ‘다빈치 코드’는 블록버스터 영화로는 처음으로 칸느영화제 개막작으로 선정되었을 정도로 예술성을 인정받은 작품이라고 할 수 있다.


다빈치의 그림 속에 기호로 숨겨져 있던 비밀이 기원후부터 지금까지의 역사를 송두리째 바꾸어 놓았을 가능성이 매우 크다는 사실 하나만으로도 이 영화는 많은 사람들에게 관심을 불러일으키기에 충분하다.


그리고 그 비밀이 정말로 인류 역사를 바꾸어놓을 정도로 거대한 것이었다면 우리는 앞으로 어떻게 역사를 꾸려나가는 것이 바람직한가 하는 점도 함께 묻고 있는 영화가 바로 ‘다빈치 코드’가 아닌가 하는 생각도 함께 하게 된다.

 

 

 

지금은 신화나 전설이 되어버린 숨겨진 비밀을 찾아간다는 점에서는 ‘인디아나 존스’나 ‘툼레이더’ 같은 작품과 비슷하지만, 스릴과 모험만이 강조되는 그런 제국주의 영화와는 질적으로 다르다는 점 또한 간과해서는 안 될 것으로 보인다.


인간의 내면 심리를 절묘하게 다루었던 작품인 ‘뷰티풀 마인드’로 아카데미상을 휩쓸었던 ‘론 하워드’가 감독을 맡았다는 사실에서부터 이 작품이 지닌 구성의 복잡함과 내용의 난해함을 예상할 수 있기 때문이다.


예상했던 대로 이 영화에 대한 사람들의 반응은 양분되는 양상을 보인다. ‘아주 재미있다’와 ‘졸릴 정도로 지루하다’가 그것이다. 필자가 볼 때 이 영화는 다음의 몇 가지만 생각을 하고 본다면 아주 재미있게, 그리고 많은 것을 생각하면서볼 수 있는 작품이 아닌가 한다.

 

 

첫째, 탐색의 모티브이다.

탐색의 모티브는 주인공이 무엇인가를 찾아서 여행을 떠나는 방식으로 진행되는 것을 말한다. 주인공이 찾으려고 하는 것은 대단히 중요한 것이기 때문에 이것을 노리는 사람들과 그것을 지키는 사람들이 매우 결사적인 것이 특징이다.


이러한 탐색모티브를 지닌 작품에서는 모험과 스릴, 그리고 폭력이 반드시 등장한다. 여기서 등장하는 폭력, 스릴, 모험 등은 탐색모티브를 지탱해주는 가장 핵심이 된다. 이것이 없으면 긴장과 갈등의 해소를 통한 카타르시스가 전혀 일어날 수 없기 때문이다.


‘다빈치 코드’에서 주인공이 찾으려고 하는 것은 성배다. 그런데, 여기서 말하는 성배는 기존의 작품에서 다루었던 절대적 힘을 지닐 수 있다고 믿는 물질적인 존재가 아니다. 이들이 찾으려는 성배는 인류 역사를 송두리째 바꿀 수 있다고 여겨지는 그런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다빈치 코드’가 지닌 탐색모티브는 현상적이고 물리적인 탐색이 아니라 내면적이고 심리적인 탐색이 중심을 이루게 된다. 따라서 주인공은 폭력에 매우 약한 존재로 그려지고 끊임없이 도망을 다니는 그런 상태로 그려질 수 밖에 없다.

 

 

‘다빈치 코드’에서 주인공은 내면의 존재인데 반해 주인공을 막아서는 사람들은 현실적이고 현상적인 존재들이며, 지금까지 인류 역사를 바람직하지 않는 방향으로 이끌어왔던 주체세력들이다.


이런 점에서 볼 때, ‘다빈치 코드’는 내면의 탐색모티브를 지닌 작품이라고 할 수 있는데, 이것은 물리적이고 현상적인 세계에 대한 정신적이고 심리적인 세계, 폭력적인 남성에 대한 비폭력적인 여성 등을 상징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다빈치 코드’처럼 내면의 탐색모티브는 자칫 지루하게 흐를 가능성이 없지 않다. 여기에서 부수적 존재로 등장하는 것이 바로 역사를 바꾸어놓았으며, 잘못 된 역사를 계속해서 유지하려고 하는 세력인 로마 카톨릭 교황청이고 그것에 대한 하수인으로 등장하는 것이 ‘오푸스 데이’인 것이다.

 

 

이들은 ‘예수’의 신성성을 유지하기 위해 ‘막달라 마리아’를 창녀로 만든 사람들이며, 만일 진실이 밝혀진다면 설 자리가 없어질지도 모르는 그런 사람들이다. 이들은 자신들의 힘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죽음도 불사하며, 살인도 불사하는 그런 집단이다.


주인공이 진실을 밝혀서 드러내려는 쪽의 탐색자라면 이들 집단은 진실을 덮으려는 쪽의 탐색자라고 할 수 있다. 이 두 집단의 부딪힘이 바로 이 작품의 기본 구도를 형성하고, 긴장과 갈등, 그리고 그것의 해소를 통해 영화를 이끌어가는 기본이 된다.


둘째, 이중성이다.

 

 

   이 작품에 등장하는 인물, 기호, 사물들은 모두 이중성을 지니고 있다. 등장인물의 이중성, 주제의 이중성, 인간 자체의 이중성, 기호의 이중성 등이 그것이다. 이러한 이중성은 이 영화의 핵심을 이루어서 작품을 이해하는데 있어서 결정적인 요소가 되기 때문이다. 


예수의 후예로 그려지는 ‘소피’는 물론이거니와  ‘티빙 경’과 ‘사일러스’, 그리고 ‘아링가로사’가 모두 이중적인 존재들이다. ‘소피’는 삶과 죽음, 신성성과 인간성 등의 이중성을 지닌 존재이다. 그리고 ‘티빙 경’은 진실을 밝히려는 사람이지만 베일에 가려진 인물로 역시 이중적이다.


백피증 환자로 공포와 연민을 함께 느끼도록 하는 암살자인 ‘사일러스’ 역시 두 얼굴을 지닌 이중적 존재이며, 성스러운 일을 한다고 하면서 돈으로 거래를 하는 성직자인 ‘아링가 로사’ 역시 철저하게 이중적이다.


등장인물이 지닌 이러한 이중성은 모두 성배의 이중적 의미를 부각시키기 위한 것이다. 성배는 물리적인 의미의 잔이라는 것과 예수의 피를 이어받은 여성이라는 이중적 의미를 지니고 있는데, 위에서 말한 등장인물들은 모두 성배의 이중성에서 파생된 것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등장인물의 이중성은 모두 성배의 진정한 의미인 ‘예수의 피를 이어받은 여성’이라는 사실을 부각시키기 위한 대립일 수밖에 없게 된다. 진실을 은폐하여 자신들의 세계를 유지하려는 사람들과 그것을 드러내어 숭배하려는 사람들의 이중적 대립구도가 바로 등장인물의 이중성으로 나타난 것이다.

 

 

다음으로는 주제의 이중성이다. 이 작품의 주제는 역사라고 할 수 있다. 2000년을 넘게 숨겨온 비밀로 인해 2000년 동안의 세계 역사는 만들어졌는데, 이것이 잘못된 것일 가능성이 매우 크기 때문에 이제는 진실을 드러내야 한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이 영화에는 과거의 역사와 미래의 역사가 함께 존재한다고 보아야 한다. 즉, 막달라 마리아가 부정되면서 만들어진 과거의 왜곡된 역사와 마리아의 긍정을 통해 다시 서야 하는 미래의 올바른 역사가 이 작품 속에 이중적 의미로 녹아 있다는 것이다.


영화에 의하면 과거의 역사라고 하는 것은 로마교황에 의해 편집된 성경에 의해 그리스도의 신성성만이 부각되면서 막달라 마리아는 창녀로 취급되었으며, 그 과정에서 종교전쟁과 마녀사냥 등을 통한 역사의 왜곡이 2000년을 넘게 계속되어 왔다는 것이다.


그 결과 과거의 역사는 신 중심과 남성 중심으로 꾸며지게 되었는데, 이것은 결코 예수께서 바라던 사회는 아니었을 것이라는 주장이다. 전쟁과 살육, 그리고 고통을 강요해왔던 과거의 잘못된 역사를 올바르게 세우고자 하는 것이 바로 성배를 찾는 목적이라는 것이다.


성배의 진정한 의미와 함께 인간의 몸으로 이 세상에 왔던 예수의 인간성과 신의 씨앗을 담은 그릇인 여성이 지닌 신성성이 함께 부각되는 세상이 바로 미래의 역사가 될 것이라는 것을 이 영화는 주제의 이중성으로 보여주고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다음으로는 사물이나 기호의 이중성이다. 이 영화에 등장하는 사물의 핵심은 말할 것도 없이 다빈치가 그린 그림이다. 그리고 그 그림들은 일정한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서 일종의 기호나 마찬가지다.


또한 남성성을 상징하는 ‘블레이드의 정삼각형’, 여성성과 성배의 상징으로 여겨지는 ‘챌리스’, 고대 이집트의 ‘앙크’, ‘자가와 그리스 십자가’, ‘백합문양’, ‘로즈라인’ 등은 모두 상징이며, 기호이다. 이것들은 모두 이중적인 의미를 지니고 있는 것으로 파악된다.


여기에서 가장 중심이 되는 것은 역시 다빈치의 그림인데, ‘최후의 만찬’과 ‘암굴의 성모’, 그리고 ’모나리자‘에 이르기까지 모두 기호를 간직하고 있으며, 각각 이중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들로 가득 차 있다.

 

 

프랑스를 중심으로 하는 유럽에서 모나리자 그림을 컴퓨터와 X선 촬영 등의 장비를 통해 다각도로 분석한 결과에 의하면 모나리자는 다빈치가 그린 최후의 만찬에 등장하는 막달라 마리아와 거의 같으며, 밑그림에 등장하는 존재가 바로 예수그리스도였다는 것이다.


더욱 놀라운 사실은 작품의 모델이 지금까지 알려진 것처럼 실존 인물이 아니라 다빈치가 상상해서 그렸을 가능성이 크다는 것이다. 실존 인물을 모델로 하여 그린 그림에서는 여러 번 수정한 흔적이 발견되는 것이 정상인데, 모나리자에는 그런 흔적이 전혀 없다는 것이다.


결국 모나리자라는 그림은 다빈치가 마음속에 생각한 이상의 여성일 가능성이 높다는 것인데, 그 인물이 최후의 만찬에 등장하며, 베드로가 손을 칼처럼 해서 목에 대고 있는 막달라 마리아일 가능성이 높다는 것이 된다.

 


최후의 만찬에 성배가 없는 것은 그렇다 치더라도 예수그리스도와 그의 오른쪽에 앉아있는 막달라 마리아로 보이는 여성의 사이는 유달리 넓은 공간이 V자로 형성되어 있는데, 이 공간이 바로 성배의 상징이며, 여성의 상징이라는 것이다.


또한 더욱 놀라운 것은 예수그리스도와 막달라 마리아의 구도를 기호로 나타내면 영어로 M이 되는데, 이것은 결혼을 의미한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예수그리스도와 막달라 마리아는 남녀관계였으며, 그녀는 예수의 아이를 가졌다는 것이다.


그것이 바로 성배로 기호화된 것인데, 이것은 예수의 핏줄을 이어받은 여성, 즉 왕의 혈통이 되는 것이다. 이러한 기호를 그림 속에 숨긴 다빈치야말로 예수그리스도의 인간성과 막달라 마리아의 신성성을 믿었던 사람이었다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살펴보아야 할 것은 인간 자체의 이중성이다. 인간은 태생적으로 이중적인데, 육체와 영혼의 결합으로 만들어졌기 때문이다. 그런데, 육체와 정신의 결합은 남성과 여성의 결합으로도 연결되기 때문에 훨씬 더 복잡성을 띤다.

 

 

힘과 권력을 상징하는 육체는 과거의 역사를 움직여온 남성성으로 볼 수 있고, 감성과 신성을 상징하는 영혼은 미래의 역사를 움직일 여성성으로 볼 수 있는데, 이런 이유 때문에 과거의 역사는 전쟁과 살육과 마녀사냥이 중심을 이루는 정복과 폭력의 현장이었던 것이다.


이러한 이중성을 지니는 인간이야말로 지구와 우주를 움직여갈 핵심적인 존재이기 때문에 어느 한쪽의 성질만이 강조되어서는 안 될 것으로 보인다. 잃어버린 한쪽의 이중성을 되찾고자 하는 것이 바로 성배를 찾는 진정한 의미가 된다는 사실을 이 영화는 보여주고 있다.


셋째, 여성성이 강조되고 여성이 지닌 신성성이 중시되어야 사실이다.

유전학적으로 볼 때 자식은 아버지보다는 어머니의 유전자를 훨씬 많이 받는다고 한다. 이것은 자식들이 성장해서도 어머니에 대하여 훨씬 애틋한 것에서도 알 수 있다. 그러므로 혈통의 계승은 여성으로 이어진다고 보아야 한다.

 

 


그러나 지금까지의 세계 역사, 즉 과거의 역사는 그렇지 못했다. 최소한 2000년 정도의 역사는 그렇지가 않았다는 것을 기록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혈통의 계승은 말할 것도 없고, 핵심 권력이나 신에 대한 경배 등에서도 여성은 항상 뒷전이었던 것이다.


이러한 현상은 세계 전체가 그랬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것인데, 중심으로 하는 천주교와 기독교문화권에서 더욱 심했던 것으로 보인다. 예수그리스도의 신성성을 훼손시키지 않기 위해서는 어쩔 수 없었다고 하지만 그것은 말도 안 되는 변명에 불과하다.


예수의 후예를 말살하기 위해서 마녀를 수도 없이 만들어내어 마녀사냥으로 얼마나 많은 여성을 죽였는지 조차도 알 수 없을 정도라고 하니, 천주교와 기독교가 수천 년간 숨겨온 이 비밀이 사실이라면 미래의 역사는 여성 중심의 사회가 될 것으로 전망된다.


이것이 바로 ‘다빈치 코드’를 통해 소설의 작가와 영화감독이 우리에게 주려고 했던 핵심적인 메시지가 아닌가 하는 생각을 하게 된다. 위에서 필자가 제시한 점들을 생각하면서 이 영화를 다시 본다면 좀 더 재미있게 감상할 수 있지 않을까 하는 바람을 가져본다.

 

 

사진출처 : 다음 영화

http://movie.daum.net/movieInfo?mkey=40882&nil_profile=movietop&nil_menu=now_a_image


출처 : 우리문화사랑방 원문보기 글쓴이 : 죽계
출처 : 오드리 헵번처럼 때론 마릴린 먼로처럼
글쓴이 : 이브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