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티베트와 나

[헬로! 티베트 4편] 찬란했던 위용 역사의 뒤안길로

 

시안성의 동문 장락문(西安城墙长乐门)

3천년 고도이자 실크로드의 출발지 시안(西安). 한나라 때 ‘자손이 영원히 평안하기를 바란다(慾其子孫長安)’는 뜻의 ‘장안(長安)’이라고 했으나 명대(1369년)에 이르러 ‘서쪽이 평안하다’라는 뜻으로 시안(西安)으로 고쳐 불렀다.

시안은 거대한 장기판 모양으로 이루어진 도시다. 과거에는 길이 36㎞, 높이 5m에 이르는 긴 성벽으로 둘러싸여 있었다고 한다. 지금 남아 있는 것은 남쪽 성벽의 일부다.

오늘날의 시안은 예전의 화려함이나 웅장함을 상상하기 어렵다. 현대화의 바람은 3천년 고도(古都) 시안도 빗겨 갈 수 없는 광풍이었다. 찬란했던 한나라 때 장안의 위용은 기념물처럼 명맥만 유지한 채 콘크리트 빌딩과 상가로 변해 생채기투성이다.

비교적 당시의 전통이 잘 보전되어 있다는 후이족 시장을 찾았다. 수천 년 역사를 자랑하는 후이족 거리는 골목마다 형성되어 있다. 고루(鼓楼)뒤에 위치한 베이위안먼(北院门)거리의 후이민제(回民街)골목. 후이족의 심장부로 시안의 후이족이 대부분 모여 사는 곳이다.

후이민제 먹자골목

 

후이족이 직접 만들어 판매하는 음식과 왁자지껄한 장터를 구경하는 재미가 쏠쏠하다. 요즘의 후이민제는 가히 온통 먹자판이라고 단언하는 것이 맞겠다. 다양한 먹을거리와, 기념품가게 그리고 관광객과 거리악사들의 음악이 섞여서 불협화음으로 다가온다.

그 옛날 실크로드의 출발점이자 최대의 교역장소 중 하나였다는 사실을 믿기 어렵다. 구멍가게만한 비단가게 몇 집이 고가의 상품을 진열하고 있으나 이를 실크로드의 흔적으로 삼기엔 너무 초라하다.

시안(西安)의 서쪽 관문, 수 백 년 동안 대상(隊商)들이 서역으로 끝없는 여행길을 시작하던 곳에 거대한 돌조각 하나가 있다. 실크로드를 개척했다는 장건(張騫)을 필두로 실크로드에서 만났던 여러 민족을 형상화한 조각상이다. 심드렁한 현대 조형물 하나가 창대했던 실크로드 역사를 대변하기에는 역부족이다.

실크로드 기점 조형물

조각상을 뒤로 하고 깐쑤성(甘肅省)의 성도(省都) 란저우(蘭州)로 길을 잡는다.

시안에서 란저우로 가는 길은 고속도로를 벗어나 지방도로를 택한다. 500여 km에 멀고도 거친 길이지만 황토고원 다랑이 밭의 거대한 장관을 그냥 지나칠 수는 없는 일. 고생을 자초한다. 고생하는 만큼 뭔가 다른 그 무엇을 기대한다.

예상했던 대로 길은 엉망진창이고, 고장 난 차들은 장소에 구애 없이 돌멩이 몇 개로 표식을 하고는 제멋대로 정차해 있어 수시로 안전을 위협한다. 가지런한 것은 수양버들 곱게 늘어진 가로수뿐이다.

사정이 이러한데도 셀 수 없을 만큼 많은 톨게이트에서 통행료를 징수한다. 톨게이트 옆에 정부지시문건으로 요금징수의 이유를 커다랗게 입간판으로 해놓았는데, 공로(公路)사업과 도로보수비 충당을 위해서란다. 하긴 이것이 어디 란저우 가는 길 뿐이겠는가?

실크로드를 따라 서북 방향으로 약 150킬로미터를 가면 삔현(彬縣)에 도착한다. 실크로드가 번성하던 시절 관문으로 실크로드의 주요 접점 중의 하나였다. 오늘날 셴양시(咸阳市) 삔현(彬縣)의 312번 국도변에는 산시성(陕西省) 최대의 석굴인 대불사(大佛寺)가 있다.

당나라 초기(628년) 당태종 이세민이 전사한 병사들의 영혼을 달래기 위해 세웠다는 전설과 함께 불교가 흥성하던 시기에 지어진 사원 중 하나로 실크로드를 통한 불교의 전래연구에 중요한 가치가 있다고 알려졌다.

칭량산(清凉山) 산자락에 동굴을 파고 돌을 조각해 조성된 것으로 약 400미터 길이의 절벽 면에 130여 개의 석굴이 있다. 2014년에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된 ‘실크로드 장안(長安)-천산(天山) 랑도(廊道)도로망(丝绸之路:长安—天山廊道的路网)’의 유적지 중 하나이기도 하다.

대불사

이 사원을 지나면 산세가 변하기 시작한다. 구름 같은 평평한 산들이 봉긋봉긋 병풍처럼 나타나는데 자세히 보면 사방이 온통 계단식 논과 밭으로 펼쳐지고, 시작도 끝도 알 수 없는 황토협곡이다.  

어느 한 곳도 빈틈없이 사람의 손길이 닿아 있다. 어떻게 이 넓고 높은 곳까지 개간을 했을까? 논과 밭 사이로는 수많은 크고 작은 토굴이 보인다. 농작물을 저장하기도 하지만 아직 사람이 살기도 한단다.

어느 곳은 폭이 1~2m 정도로 논이라고 하기에는 부끄러운 자투리 땅. 그러나 농부에게 땅은 생명과도 같은 것이라 그 곳에도 사람의 손길이 꼼꼼하다. 자연은 위대하고 그 자연은 농심에 젖어 있어, 고귀하고 위대한 것은 사람이라는 생각이 든다.

서글픔도 있다. 서부대개발 여파로 결단 난 동네도 없지 않다. 개발붐에 편승해 갑자기 넓어진 도로, 끊임없이 왕래하는 차들로 인해 평화롭던 마을이 두 쪽이 됐다. 에코 브리지를 찾는 짐승처럼 가드라인과 중앙분리대를 넘어 어딘가를 찾아가고 있는 코흘리개 꼬마가 애처롭다.

 

저작권자 © OBSW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