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다큐멘터리 개론

다큐멘타리의 4가지 양식( Bill Nichols)

1) 설명적 양식 -  정보제공, 교훈적, 교육적, 나레이션과 화면의 일관성
                           논리적 태도로 일반 대중에 접근한다.
                           나레이션이 과다하고 神(이성-합리)의 권위를 가장 
                            -- 대화<훈계,  논쟁<해설
                           상식적, 지배적 이데올로기에 일치하는 형식
                           인간상호간에 인정되는 확실성의 인식론에 근거  
            예)플레허티, 그리어슨을 포함한 60년대 이전의 다큐  대부분의 T.V다큐 


 2) 관찰자적 양식 - 인위적 설명금지, 제작자의 불간섭  객관적 태도유지
    (다이렉트 시네마)  벽에 붙은 파리처럼 제작자의 의도, 카메라의 존재를 감추고
                           위기의 순간,갈등의 표출, 진실이 드러날때까지 기다림-방관자의 역할
                           소수의 등장인물, 일상의 단일사건을 소재로 한다.-일상적 삶의 리듬
                           지나칠 정도의 세부묘사-반복과 미세한 변화 
                           롱테이크-  가공되지 않은 현실
                           편집- 시,공간적 연속성 급격한 시공간의 변화는 피한다.-예외 많음
                           관객은 이상적인 관찰자가 됨

                  BUT  출연자가 카메라를 의식하는 것은 아닌가
                           특수한 유형의 등장인물, 특수한 상황
                           현실에 대해 투명한 접근이 가능한가?
                           진실은 기다린다고 발견되는 것이 아니다.
            예) 죽음직전(프레드릭 와이즈만-사회학적 분석)  세일즈맨(메이슬즈 브라더스) 

 

 3) 상호작용적 양식 - 제작자의 노출, 사건참여, 대상을 자극, 간섭한다 (노골적/간접적)
    (시네마 베리테)   제작자의 목소리, 모습등장
                           인터뷰를 자주 사용 - 촉매자의 역할-대상과 관객을 매개
                             - 진실은 기다린다고 발견되는 것이 아니며 개입하여
                           잠재해있는 진실을 드러나게 한다.
                           제작자의 관점을 명확히 노출
                           관객들은 제작자- 대상, 그들의 상호관계에 모두 관심 갖게 됨
                             -실재 접촉과정에 대한 이해
                             -예) 카메라 때문에 드러나는 노조원들과 지도부의 갈등이
                           주된 내용이 될 수도 있다.
                           현재뿐 아니라 과거에 대한 제작자의 개인적 관점,
                           과거와 현재의 관계/ 현재에 대한 과거의 영향(예: 돼지의 해) 
                           그러나 나레이션이 설명적이지 않고 개인적 경험에 의존

                  BUT   제작자가 판사라기보다는 변호인에 가깝다.
                           카메라가 대상을 압도하진 않는가?
            예) 우리는 전사가 아니다.  어느 여름의 연대기 (쟝 루슈)  돼지의 해(안토니오)

 

 4)자기성찰적 양식 -베르토프-카메라를 든 사나이에서 비롯
                           7.80년대 본격적으로 등장(정치적 위기,언어체계에 대한 회의)
                           모든 다큐가 있는 그대로의 삶의 기록이라는 환상을 깸
                           다큐는 다른 영화처럼 인위적 구성물이다라는 반성
                           현실/역사적 세계 보다 현실의 인상/역사적 세계의 재현과정
                            -의사소통과 표현의 가능성에 대한 의문제기
                           형식적/ 정치적 성찰 - 사물을 보는 방법, 살아가는 방법
                           진실에 대한 조심스러운/회의적 태도, 흔들리는 주관적 나레이션
                           진실은 "보증되지 않고" 투명하게 반영될 수 없다.
                           화면과 나레이션의 불일치
                           제작자/대상보다, 제작자/관객간의 만남을 강조
                           친숙한 것 낯설게하기/ 낯선것 친숙하게 하기- 관습파괴
                           갈등하는 신념체계-목격자가 아니라 작품자체가 그렇다.
                           다큐작업자체에 대한 윤리적,정치적, 미학적 반성 포함
                           라쇼몬의 불확정성의 세계로의 후퇴를 요구하지는 않는다.
                           오히려 정치/문화적인 진실의 구성에 개입할 수 있는 조건을 명확히  
                           인식하는 방향으로 이끌 수 있다.
                           과거를 재현했다기보다는 현재의 이미지속에서 과거를 재활동시켰다.
                            -> 포스트모던적 특질

            예) 로저와 나, 가늘고 푸른 선  셔먼 장군의 행진
  
                  BUT  너무나 강한 주관성으로
                           제작자가 주인공이 되기도하며 냉소적이거나 자아도취적 태도를 취함 
                           사실 기록을 변형
                           수단이 결과를 훼손하고 사실에 대한 집중력을 떨어뜨린다
                           감독이 주인공처럼- 잘난척 한다.(로져&미)